본문 바로가기

Photo1423

Operophtera brunnea 겨울물결자나방 ♀ 겨울밤에 활개치는 이 나방의 정체가 궁금하다면 암수의 생김새가 전혀 다른 겨울자나방 겨울자나방 무리는 암수의 모습이 전혀 달라서 다른 종으로 착각하게 만든다. 암컷은 날개가 퇴화되어 흔적만 남아있다. 체색은 보호색을 띄므로 나무껍질과 비슷하여 낮에도 잘 구분이 되지 않는다. 암놈은 날지 못하므로 밤이 되면 페로몬을 풍겨서 수컷을 유인한다.   겨울자나방 무리가 겨울에 깨어나는 이유는 천적을 피해 세대를 이어가려는 목적과 함께 다른 종과의 경쟁을 피하기 위해서다. 쌀쌀한 날씨, 온돌방이 그리워지는 한 밤중에 짝짓기를 하는데 이르면 11월 늦으면 12월까지 활동한다. 종에 따라서는 2월에 출현하는 녀석도 있다. 겨울에 교미하여 세대를 이어가는 습성 때문에 겨울자나방이라고 하며 지금까지 우리나라에는 약 30종이 기록되어 있다.  https://omn.kr.. 2025. 1. 2.
꿀벌을 낚아채는 말벌... 도심적응력도 뛰어납니다 Vespa mandarinia 장수말벌 등검은말벌이 우리나라에 들어와 생태계를 교란시키고 있다면 미국으로 간 우리나라의 장수말벌은 양봉농가의 골치아픈 존재로 등극해버렸다. 2019년에 미국에서 처음 확인된 장수말벌은 현지에서 '아시아거인말벌(Asian giant hornet)'로 불리우며 천적이 없어 피해가 확산되고 있다. Vespa mandarinia Smith, 1852 장수말벌 Hymenoptera 벌목 - Vespidae 말벌과 https://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2881280&SRS_CD=0000013479 꿀벌을 낚아채는 말벌... 도심적응력도 뛰어납니다1987년 FOX 뉴스에서 첫 방영된 애니메이션 심슨가족(The Simpsons)은 블랙 유머를 곁들여서 미.. 2024. 12. 24.
Hyalobole evelina 털수염밤나방 이상 증식하면 농작물에 상당한 손해... 동남아, 아프리카 등 긴장시키는 곤충들 FAO(유엔식량농업기구)는 세계 식량을 위협하는 곤충으로서 밤나방을 꼽는다. 파를 갉아먹는 파밤나방과 오이 수확을 망치는 오이금무늬밤나방, 콩무늬밤나방은 콩을 파먹으며 고추와 담배를 먹는 담배나방은 악명이 높다.  어른벌레로 월동한다. 11월 말에서 12월 초에 날개돋이 하는 것으로 추정 됨.인편이 하나도 닳지 않았고 실내로 옮기니 거침없이 날아다님. Hyalobole evelina (Butler, 1879) 털수염밤나방 Lepidoptera 나비목 - Noctuidae 밤나방과  오밤중에 기어 나와 작물을 먹는다곤충계에는 분위기 있는 밤을 엉망으로 만드는 존재가 있다. 한밤중에 몰래 땅 속에서 기어 나와 농작물을 잘라먹는 밤나방과(Noctuidae) 무리다. 녹턴에서 유래한 말로써 나비류 중에서 가장 .. 2024. 12. 23.
Inurois membranaria 좁은날개겨울자나방 ♀ 겨울밤에 활개치는 이 나방의 정체가 궁금하다면 Lepidoptera 나비목 - Geometridae 자나방과  Inurois membranaria (Christoph, 1881) 좁은날개겨울자나방  암수의 모양이 전혀 다른 현상을 성적이형(Sexual dimorphism)이라고 하는데 조류에서는 꿩이 그러하다. 진한 갈색의 줄무늬에 얼굴은 파랗고 눈 주위는 빨간 수컷 꿩을 장끼라 하고, 연갈색 바탕에 수수한 암컷은 까투리라고 부른다. 공작새와 청둥오리도 성적이형을 보이는 종이다. 곤충 세상에서는 겨울자나방 무리가 대표적이다.   겨울자나방 무리가 겨울에 깨어나는 이유는 천적을 피해 세대를 이어가려는 목적과 함께 다른 종과의 경쟁을 피하기 위해서다. 쌀쌀한 날씨, 온돌방이 그리워지는 한 밤중에 짝짓기를 하는데 이르면 11월 늦으면 12월까지 활동한다... 2024. 12. 20.
Corythucha ciliata 버즘나무방패벌레 개미의 사악함에 대해 알려드립니다 12월 초순, 버즘나무 잎이 후두둑 떨어진다. 아직도 초록색 기운이 남아 있는 주맥 사이에 버즘나무방패벌레가 있다. 잎 뒷면 굵은맥 사이에는 솜털이 자잘하게 나 있어 한기를 조금은 막아주겠지. 까만 점이 자글자글 한 것은 방패벌레의 똥.  기온이 낮아서 행동이 굼뜨다. 떨어진 낙엽이 겨울 이불이다. 어른벌레로 추위를 견디고 이듬해 봄에 다시 활동하는구나. Corythucha ciliata (Say, 1832) 버즘나무방패벌레 Hemiptera 노린재목 - Tingidae 방패벌레과     https://omn.kr/1zd6o 개미의 사악함에 대해 알려드립니다'뛰는 놈 위에 나는 놈, 그 모두에 기생하는 놈.' 우리네 삶을 불편하면서도 노골적으로 표현하자면 이렇게 말할 수 있다. 자연을 깊이 들여다보면, .. 2024. 12. 16.
Parapolybia indica 큰뱀허물쌍살벌 여왕벌 다리를 축 늘어뜨리고 난다 큰뱀허물쌍살벌 여왕벌. 12월 6일. 겨울잠을 자려고 준비중이었다. 나무 구멍 속에서 나와 이러저리 날다가 다시 같은 자리로  온난화 때문이겠지. 12월까지 활동을 하다니 그것도 쌩쌩하게 다리를 늘어뜨리고 나는 모습이, 마치 '화살을 쏜 것'처럼 보인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 쌍살벌. 순 우리말로는 '바다리(뻗은 다리)'라고 하며 영어권에서는 종이집벌(Paper wasp)이라고 부른다. 나무를 갉아내어 잘게 씹은 뒤 타액으로 반죽하여 집을 만들기 때문이다. 뱀허물쌍살벌은 길다란 벌집을 만드는데 허물을 벗어던진 뱀 껍질을 떠올리게 하여 지어진 명칭이다. 몸 길이 약 25mm 정도로 우리나라 전역에서 흔하게 발견되는 제일 큰 쌍살벌을 '왕바다리'라고 한다. 쌍살벌(뱀허물쌍살벌, 제주왕바다리, 등검정쌍살벌, 꼬마.. 2024. 12. 15.
동정 구별 뱀허물쌍살벌, 큰뱀허물쌍살벌 반지의 제왕을 품은 곤충들J.R.R. 톨킨의 에 나온 6명의 난쟁이들도 스웨덴의 곤충학자 칼-요한 헤드퀴비스트(Karl-Johan Hedqvist)에 의해 말벌 속명을 받았다. 그는 전 세계 벌목 곤충 5만종 이상의 표본을 만들었으며, 이 컬렉션은 연재 39화(역사에 남은 과학자의 남다른 제2의 관심사)에서 소개한 찰스 로스차일드의 벼룩과 함께 런던자연사박물관의 대표적인 소장품이다. 그의 기생벌 포트폴리오 가치를 알아본 박물관에서 헤드퀴비스트가 죽고 난 뒤 2011년에 구입했다. 7왕국 가문의 시조가 된 말벌들 조지 R.R. 마틴의 는 오바마 전 대통령이 푹 빠져서 보는 드라마로 우리에게 잘 알려졌다. 대한민국에서는 이란 제목으로 방송을 탔으며 이 시리즈에 나오는 7개 가문의 이름을 따서 말벌에 붙인 속.. 2024. 12. 13.
여전히 과수와 작물에 피해 주는 멸구... 과수원의 주요 해충 명나방 패거리 Raivuna patruelis Stål, 1859 상투벌레 상투벌레는 멸구와 비슷하게 생겼다. 친인척 관계니 당연하다. 초접사로 들여다보면 희안하게 생겼다.멸구 종류는 Raivuna patruelis Stål, 1859 상투벌레 Hemiptera 노린재목 - Dictyopharidae 상투벌레과국가생물종목록에서 상투벌레를 검색하면 9종이 나온다. 구글링해서 찾아보니 하기에 나온 어떤 종하고도 맞지 않음. 깃동상투벌레속: 깃동상투벌레(Orthopagus lunulifer), 짧은깃동상투벌레(Orthopagus splendens). 애상투벌레속: 애상투벌레(Saigona ishidae) 상투벌레속: 고려상투벌레(Dictyophara koreana), 긴뿔상투벌레(Dictyophara nekkana) 상투벌레과(속명 없음): 남방상투벌레(Raivuna cummingi.. 2024. 12. 3.
박물관에 눈먼 은행 재벌이 50년간 벌인 기막힌 일 10살에 개인 박물관 만들 정도로 남달랐던 로스차일드 남작 이야기라이오넬은 불혹의 나이에 일선에서 물러난다. 그는 40대에 만든 동물원과 20대에 설립한 박물관을 통해 전 세계로의 탐험을 시작한다. 이 기나긴 여정에는 그동안 모아 놓은 3만여 권의 조류학 서적을 갖춘 도서관이 함께 했다. 로스차일드 남작은 각 분야의 여러 전문가(탐험가, 수집가, 곤충학자, 박제사, 사서 등)를 고용하여 방대한 컬렉션을 구축한다. 평생에 걸쳐 약 400명의 수집가와 손잡고 48개국 이상에서 표본을 모았다. 그는 자연과학에 헌신하며 약 800개에 달하는 출판물을 펼쳐낸다.   Ornithoptera croesus Wallace, 1859 크로에수스금비단제비나비 리디아의 왕 크로이소스를 따서 붙이 이름. 오늘날 튀르키예 서부.. 2024. 12.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