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Photo/ETC 기타109

무당거미에 기생하는 사마귀붙이의 기묘한 일생 Micromus numerosus 애뱀잠자리붙이 피붙이를 비롯하여 쇠붙이나 금붙이 등으로 쓰이는 접미어 '붙이'는 같은 종류라는 뜻이다. 가령 도마뱀 중에서는 우리나라 남부지방에 서식하며 심심치않게 옥내에 들어와 여러 해충을 잡아먹는 도마뱀붙이가 있다. 곤충 세상에는 사마귀를 흉내낸 사마귀붙이를 비롯하여 무당벌레와 비슷한 네점무늬무당벌레붙이, 먹그늘나비붙이, 남생이잎벌레붙이, 뱀잠자리붙이, 참개미붙이, 녹색하늘소붙이 등등 수두룩하다.  뉴럽테라(Neuroptera, 맥시류)는 '그물날개(Net-wing)를 가진' 곤충을 말한다. 좁게는 풀잠자리목을 뜻하지만 넓게는 명주잠자리과, 풀잠자리류, 사마귀 무리가 속해 있다.  https://omn.kr/1zei8 무당거미에 기생하는 사마귀붙이의 기묘한 일생피붙이를 비롯하여 쇠붙이나 금붙이 등으로 쓰이는 접미어.. 2024. 11. 19.
닮은일본줄풀잠자리 Chrysoperla nigrocapitata 정부 허락 없이 외국 가져가면 안 된다는 풍뎅이? 풀잠자리 어른벌레는 약간 거슬리는 냄새를 풍겨서 천적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기에 영어권에서는 구린내파리(stinkfly) 또는 뜨개질날개(lacewing) 라고 부른다. 어른벌레도 작은 곤충을 사냥하므로 근래에 들어와서는 무당벌레와 함께 생물학적 방제 곤충으로 활용되고 있다.  영어권에서는 개미귀신(Ant Lion)에 빗대어 진딧물사자(Aphid Lion) 또는 진딧물늑대(Aphid Wolf)라고 부른다. 어미는 일생동안 약 300여 개의 알을 낳는다. 나뭇잎에 거꾸로 매달려 꽁무니에서 끈적한 실을 뽑아내며 마지막 순간에 알을 붙여놓는다. https://omn.kr/1z9kq  정부 허락 없이 외국 가져가면 안 된다는 풍뎅이?투탕카멘 왕릉에는 소똥구리가 태양을 굴리는 모양을 도안한 목걸이가 있다. 고대 이.. 2024. 11. 14.
무당거미에 기생하는 사마귀붙이의 기묘한 일생 Mantispa formosana 사마귀와 말벌을 모방한 사마귀붙이는 처음 보면 그로테스크 한 인상을 준다. 크기는 20mm 정도이며 상체는 사마귀와 다를 바 없지만 하체는 노랑색 바탕에 줄무늬가 있어 말벌을 닮았다.  사마귀붙이는 풀잠자리목에 속하는 곤충으로서 무당거미에 기생한다. 풀잠자리목을 뜻하는 Neuroptera는 미세한 날개맥(시맥)이 복잡하게 얽혀 있다는 뜻이다. 신경망(Neuron)과 날개(Ptera)의 조합으로서 풀잠자리를 뜻하는 뜨개질날개(lacewing)라는 영명도 여기에서 기원한다. https://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2843219&SRS_CD=0000013479 무당거미에 기생하는 사마귀붙이의 기묘한 일생피붙이를 비롯하여 쇠붙이나 금붙이 등으.. 2024. 10. 31.
갈비빵 만드는 사마귀와 솜사탕 빚는 파리매 Tenodera sinensis 왕사마귀 외형이 전혀 다르게 생긴 흰개미와 바퀴벌레, 사마귀는 친인척 관계로서 망시목(Dictyoptera)으로 묶인다.  날개맥(시맥)이 그물처럼 생겼다는 뜻이다.  곤충 세상에서 사냥꾼으로 이름 난 사마귀는  그로테스크하게 늘어난 긴 목(앞가슴등판)에 역삼각형 대가리를 하고 있으며 사백안을 갖고 있어 표독스러운 느낌을 준다.    밤이면 까만 썬글라스를 끼므로 귀여워 보이기도 한다.호기심 가득한 눈으로 누구? 뭐야? 하고 궁금해하는 면상이다.낯짝 귀엽네~~   https://omn.kr/206l7 껴안고 포옹하는 벌레들? 사실 잡아먹는 중입니다파리매과 무리는 '곤충 세상의 매'라 불리는 녀석들로서 각종 벌레를 잡아먹고 산다. 햇볕이 뜨겁게 내리쬐고 시야가 확보되는 나뭇잎 위에 매복하고 있다가 날아다니는 잠자리.. 2024. 10. 28.
'그물날개' 가진 곤충인 뿔잠자리와 뱀잠자리, 약대벌레 이야기 모양이 희안하게 생겼지만 날개가 비슷하다.그물망 같은 날개가 풍성하다. 뱀파리는 진드기 사냥꾼. 대가리를 꼿꼿이 세운 물고기파리.   단칼에 끝내는 인문학 곤충기 from 오마이뉴스https://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3052589&SRS_CD=0000013479 낙타와 뱀, 잠자리 닮았지만 다 한통속입니다뉴럽테라(Neuroptera, 맥시류)는 '그물날개(Net-wing)를 가진' 곤충을 말한다. 좁게는 풀잠자리목을 뜻하지만 넓게는 명주잠자리과, 풀잠자리류, 사마귀 무리가 속해 있다. 맥시류(脈翅類)에 포함된 3www.ohmynews.com      뉴럽테라(Neuroptera, 맥시류)는 '그물날개(Net-wing)를 가진' 곤충.. 2024. 8. 17.
Panorpa amurensis MacLachlan, 1872 아무르밑들이 숫놈의 꼬리끝 파악기가 전갈의 독침과 같이 생겼다.면밀히 들여다보니 세개의 갈고리가 있구나. 위에 두개 아래에 한개.이걸로 짝짓기 할 때 암컷을 붙잡아맨다.면상은 펠리컨 부리처럼 생겼다. 전문용어로 하구식 이라고 하더란다. 오뉴월에 나와서 작은 곤충을 잡아먹고 산다. 아무르밑들이 수컷. 6월 말에 경기도 모처에서 촬영함. 대개 황토색 몸매이나 이렇게 검은색으로 태닝한 녀석도 심심치않게 출현 한다. 검은색 중장갑을 한 것 처럼 보인다. 날개에는 검은색 줄무늬가 있다. 다리는 황토색. 이렇게 초접사로 찍어서 보니 몸통의 구조를 잘 확인할 수 있다.  사진 출처만 없애고 여기저기서 사용하는 통에, 나는 B급 이미지를 올리기로 했다. 밑들이는 힘없는 곤충을 사냥하여 곱게 포장하여 암놈에게 혼인 선물로 준다. h.. 2024. 6. 29.
큰갓버섯 Macrolepiota procera (Scop.) Singer 아마도 큰갓버섯으로 추측된다. 자루가 길어서 15cm은 족히 될 듯하고 갓도 상당히 커 보인다. 주름버섯목 Agaricales - 주름버섯과 Agaricaceae 2021. 6. 11.
흰알광대버섯 Amanita verna(Bull.) Lam. (1783) 한 여름이 지나고 가을이 찾아올 무렵, 습한 땅속을 뚫고 자라난 흰 버섯. 아마도 흰알광대버섯으로 추정된다. 독버섯이므로 먹으면 안 된다. 벌레는 한 번 보면 금방 알겠는데 다른 것들은 몇 번을 봐도 긴가민가, 애매모호, 비몽사몽 아리송하다. 흰알광대버섯 Amanita verna(Bull.) Lam. (1783) Agaricales 주름버섯목 - Amanitaceae 광대버섯과 2021. 6. 3.
Scutigera coleoptrata Linnaeus, 1758 딱정그리마 생긴 것은 징그러워 보이지만 집안의 해충 들을 잡아먹고 산다. 평상시에는 옥외에 서식하나 추워지면서 옥내로 들어온다. 이 녀석은 고덕수변생태공원의 지하도에서 촬영했다. Scutigera coleoptrata Linnaeus, 1758 딱정그리마 Scutigerida 그리마목 - Scutigeridae 그리마과 2020. 7.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