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1423 Polistes jokahamae 빠르게 나는 등검정쌍살벌이지만, 의외로 침이 강하지 않다 다리를 늘어뜨리고 나는 모습이, 마치 '화살을 쏜 것'처럼 보인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 쌍살벌. 순 우리말로는 '바다리(뻗은 다리)'라고 하며 영어권에서는 종이집벌(Paper wasp)이라고 부른다. 나무를 갉아내어 잘게 씹은 뒤 타액으로 반죽하여 집을 만들기 때문이다. 뱀허물쌍살벌은 길다란 벌집을 만드는데 허물을 벗어던진 뱀 껍질을 떠올리게 하여 지어진 명칭이다.가정집 옥상, 빗물막이 장판 아래 집을 짓다. Polistes (Gyrostoma) jokahamae Rodoszkowski, 1887 Hymenoptera 벌목 - Vespidae 말벌과몸 길이 약 25mm 정도로 우리나라 전역에서 흔하게 발견되는 제일 큰 쌍살벌을 '왕바다리'라고 한다. 쌍살벌(뱀허물쌍살벌, 제주왕바다리, 등검정쌍살벌, 꼬마쌍.. 2024. 11. 30. 진딧물에게 불임시술을 하는 개미 Prociphilus oriens 물푸레면충 진딧물에게 불임시술을 하는 개미 진딧물의 꽁무니에서 나오는 단물을 받아먹기 위해 개미가 보초를 서는 것은 잘 알려져 있지만, 이들의 관계를 깊이 들여다보면 공생을 하는 것이 아니라 기생에 가깝다. 독한 개미산을 뿌리며 사나운 턱으로 공격자를 물어뜯는 개미지만 은근하게 침투하는 꽃등에를 방어할 수는 없다. 알에서 깨어난 꽃등에류 애벌레는 개미 집단과 같은 페로몬을 분비하여 동족으로 위장하고 진딧물을 잡아먹는다. 물푸레면충. 몸에 허연 왁스층을 덮고 나방처럼 난다.Prociphilus oriens Mordvilko, 1935 물푸레면충 Hemiptera 노린재목 -Aphididae 진딧물과 '뛰는 놈 위에 나는 놈, 그 모두에 기생하는 놈.' 우리네 삶을 불편하면서도 노골적으로 표현하자면 이렇게 말할.. 2024. 11. 28. 겨울에 깨어나는 겨울자나방, 스펀지에서 겨울 나는 매미나방 Erannis golda 참나무겨울가지나방 ♀ 스펀지 만들어 식물상을 파괴하는 매미나방 4월이면 노랑색 털로 뒤덮힌 납작한 스펀지 같은 알집에서 까만 매매나방 애벌레가 나온다. 몸이 커가면서 노랑색 바탕에 검은점, 청록색 무늬가 어우러진 화려한 애벌레가 된다. 온 몸에 수북한 털이 나 있어 송충이처럼 보이기도 하며 가시털에는 독이 있기에 건드리지 않는 것이 좋다. 글쓴이는 별다른 증상이 없었으나 예민한 사람에게는 가려움과 발진이 나올 수 있다. Erannis golda Djakonov, 1929 참나무겨울가지나방 Lepidoptera 나비목 - Geometridae 자나방과 https://omn.kr/226zw 겨울밤에 활개치는 이 나방의 정체가 궁금하다면암수의 모양이 전혀 다른 현상을 성적이형(Sexual dimorphism)이라고 하.. 2024. 11. 27. Leptapoderus rubidus 분홍거위벌레 너 죽고 나 죽자... 도토리 놓고 벌어지는 복수전 색상이 예쁜 분홍거위벌레.가장 맛있는 도토리묵은 '졸병처럼 작다'는 의미에서 붙여진 이름인 졸참나무 도토리로 만든다. 단단한 겉껍질은 벗겨내고 속 알맹이를 빻아 물속에 5일 정도 담가 놓는데, 떫은맛을 없애기 위해 여러 번 물을 갈아줘야 한다. 말린 가루를 물과 섞어 한동안 끓이면 걸쭉하게 엉기면서 도토리묵이 된다. Leptapoderus rubidus (Motschulsky, 1860) 분홍거위벌레Coleoptera 딱정벌레목 - Attelabidae 거위벌레과 나뭇잎을 돌돌 마는 거위벌레. 나뭇잎밥을 속에는 알이 들어 있어. 참나무과(상수리나무, 졸참나무, 떡갈나무 등)에 속하는 여러 나무의 열매를 도토리라고 한다. 암사동 선사유적지의 유물을 살펴보면 우리 조상들은 석기시대부터 도토리를 먹어왔음을.. 2024. 11. 21. 무당거미에 기생하는 사마귀붙이의 기묘한 일생 Micromus numerosus 애뱀잠자리붙이 피붙이를 비롯하여 쇠붙이나 금붙이 등으로 쓰이는 접미어 '붙이'는 같은 종류라는 뜻이다. 가령 도마뱀 중에서는 우리나라 남부지방에 서식하며 심심치않게 옥내에 들어와 여러 해충을 잡아먹는 도마뱀붙이가 있다. 곤충 세상에는 사마귀를 흉내낸 사마귀붙이를 비롯하여 무당벌레와 비슷한 네점무늬무당벌레붙이, 먹그늘나비붙이, 남생이잎벌레붙이, 뱀잠자리붙이, 참개미붙이, 녹색하늘소붙이 등등 수두룩하다. 뉴럽테라(Neuroptera, 맥시류)는 '그물날개(Net-wing)를 가진' 곤충을 말한다. 좁게는 풀잠자리목을 뜻하지만 넓게는 명주잠자리과, 풀잠자리류, 사마귀 무리가 속해 있다. https://omn.kr/1zei8 무당거미에 기생하는 사마귀붙이의 기묘한 일생피붙이를 비롯하여 쇠붙이나 금붙이 등으로 쓰이는 접미어.. 2024. 11. 19. 물에 사는 왕눈이 딱정벌레들 Hydrophilus acuminatus 물땡땡이 영어권에서 잠수벌레(Diving beetle) 라고 부르는 물방개는 예전부터 굽거나 튀겨서 먹었다. 맛이 고소해서 남쪽 지방에서는 '쌀방개'라는 별칭으로 불리운다. 지금도 동남아로 여행을 하다보면 물방개를 튀겨서 간식으로 팔고 있는 광경을 흔하게 본다. 다슬기처럼 꽁무니에 구멍을 내고 속을 빨아먹는다. 쌀방개 식용의 역사는 선사시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출토된 유물에서 물방개의 잔해가 발견되기 때문이다. 멕시코에서는 타코와 함께 굽고 소금에 절여서 먹고 있으며 일본과 중국에서는 사육하여 시장에 내다 판다. Hydrophilus acuminatus Motschulsky, 1854 물땡땡이 Coleoptera - 딱정버레목 - Hydrophilidae 물땡땡이과 비슷하게 생겼지만 몸 색깔이 거무스름한 물땡땡.. 2024. 11. 18. 겨울밤에 활개치는 이 나방의 정체가 궁금하다면 Pachyerannis obliquaria 앞노랑겨울가지나방 스펀지 만들어 식물상을 파괴하는 매미나방라틴어 학명(Lymantria dispar)에서 속명은 '파괴자'를 뜻하고 종명은 '같지 않다'는 뜻이다. 즉, 암수의 모양이 다르고 수 많은 나무에 피해를 주기에 붙여진 이름이다. 원산지는 유라시아인데 미국으로 건너간 매미나방은 엄청난 산림피해를 야기하고 있다. 현재는 동부에 피해가 집중되고 있으나 곧 북미 전역으로 퍼져나갈 것으로 예상된다. #로봇아닙니다곤충입니다 #로봇아닙니다 #단칼곤충기 #이스톨라니 #daankal #eastolany #인문학곤충기 #단칼에끝내는인문학곤충기 #extrememacro #supermacro Pachyerannis obliquaria (Motschulsky, 1861) 앞노랑겨울가지나방 Lepidoptera 나비목 - Geomet.. 2024. 11. 16. 닮은일본줄풀잠자리 Chrysoperla nigrocapitata 정부 허락 없이 외국 가져가면 안 된다는 풍뎅이? 풀잠자리 어른벌레는 약간 거슬리는 냄새를 풍겨서 천적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기에 영어권에서는 구린내파리(stinkfly) 또는 뜨개질날개(lacewing) 라고 부른다. 어른벌레도 작은 곤충을 사냥하므로 근래에 들어와서는 무당벌레와 함께 생물학적 방제 곤충으로 활용되고 있다. 영어권에서는 개미귀신(Ant Lion)에 빗대어 진딧물사자(Aphid Lion) 또는 진딧물늑대(Aphid Wolf)라고 부른다. 어미는 일생동안 약 300여 개의 알을 낳는다. 나뭇잎에 거꾸로 매달려 꽁무니에서 끈적한 실을 뽑아내며 마지막 순간에 알을 붙여놓는다. https://omn.kr/1z9kq 정부 허락 없이 외국 가져가면 안 된다는 풍뎅이?투탕카멘 왕릉에는 소똥구리가 태양을 굴리는 모양을 도안한 목걸이가 있다. 고대 이.. 2024. 11. 14. 양봉농가의 자연재해? 등검은말벌이 꿀벌을 잡아먹는 법 Polistes rothneyi koreanus 왕바다리 ♂ 생태계의 조절자 역할을 하는 바다리 몸 길이 약 25mm 정도로 우리나라 전역에서 흔하게 발견되는 제일 큰 쌍살벌을 '왕바다리'라고 한다. 쌍살벌(뱀허물쌍살벌, 제주왕바다리, 등검정쌍살벌, 꼬마쌍살벌 등) 종류는 나비목 애벌레를 잡아먹으므로 천연의 살충제로 작용한다. 왕바다리는 비가 들이치지 않고 뜨거운 햇볕을 막아주는 농가의 처마 밑이나 수목의 가지 사이, 큰 돌이나 바위 아래에 집을 짓는다. 때로는 벌집의 규모가 매우 커져서 1000마리를 넘는 봉군을 만들기도 한다. 원형의 벌집에 수백 마리의 벌떼가 빼곡히 모여 있으면 보면 보통 사람들은 두려움을 느낄 것이나 말벌과는 달리 온순한 편이다. Polistes rothneyi koreanus Vecht, 1968 왕바다리 수벌Hymenoptera 벌목 .. 2024. 11. 13. 이전 1 2 3 4 5 ··· 15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