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epidoptera 나비목_나방172 Operophtera brunnea 겨울물결자나방 ♀ 겨울밤에 활개치는 이 나방의 정체가 궁금하다면 암수의 생김새가 전혀 다른 겨울자나방 겨울자나방 무리는 암수의 모습이 전혀 달라서 다른 종으로 착각하게 만든다. 암컷은 날개가 퇴화되어 흔적만 남아있다. 체색은 보호색을 띄므로 나무껍질과 비슷하여 낮에도 잘 구분이 되지 않는다. 암놈은 날지 못하므로 밤이 되면 페로몬을 풍겨서 수컷을 유인한다. 겨울자나방 무리가 겨울에 깨어나는 이유는 천적을 피해 세대를 이어가려는 목적과 함께 다른 종과의 경쟁을 피하기 위해서다. 쌀쌀한 날씨, 온돌방이 그리워지는 한 밤중에 짝짓기를 하는데 이르면 11월 늦으면 12월까지 활동한다. 종에 따라서는 2월에 출현하는 녀석도 있다. 겨울에 교미하여 세대를 이어가는 습성 때문에 겨울자나방이라고 하며 지금까지 우리나라에는 약 30종이 기록되어 있다. https://omn.kr.. 2025. 1. 2. Hyalobole evelina 털수염밤나방 이상 증식하면 농작물에 상당한 손해... 동남아, 아프리카 등 긴장시키는 곤충들 FAO(유엔식량농업기구)는 세계 식량을 위협하는 곤충으로서 밤나방을 꼽는다. 파를 갉아먹는 파밤나방과 오이 수확을 망치는 오이금무늬밤나방, 콩무늬밤나방은 콩을 파먹으며 고추와 담배를 먹는 담배나방은 악명이 높다. 어른벌레로 월동한다. 11월 말에서 12월 초에 날개돋이 하는 것으로 추정 됨.인편이 하나도 닳지 않았고 실내로 옮기니 거침없이 날아다님. Hyalobole evelina (Butler, 1879) 털수염밤나방 Lepidoptera 나비목 - Noctuidae 밤나방과 오밤중에 기어 나와 작물을 먹는다곤충계에는 분위기 있는 밤을 엉망으로 만드는 존재가 있다. 한밤중에 몰래 땅 속에서 기어 나와 농작물을 잘라먹는 밤나방과(Noctuidae) 무리다. 녹턴에서 유래한 말로써 나비류 중에서 가장 .. 2024. 12. 23. Inurois membranaria 좁은날개겨울자나방 ♀ 겨울밤에 활개치는 이 나방의 정체가 궁금하다면 Lepidoptera 나비목 - Geometridae 자나방과 Inurois membranaria (Christoph, 1881) 좁은날개겨울자나방 암수의 모양이 전혀 다른 현상을 성적이형(Sexual dimorphism)이라고 하는데 조류에서는 꿩이 그러하다. 진한 갈색의 줄무늬에 얼굴은 파랗고 눈 주위는 빨간 수컷 꿩을 장끼라 하고, 연갈색 바탕에 수수한 암컷은 까투리라고 부른다. 공작새와 청둥오리도 성적이형을 보이는 종이다. 곤충 세상에서는 겨울자나방 무리가 대표적이다. 겨울자나방 무리가 겨울에 깨어나는 이유는 천적을 피해 세대를 이어가려는 목적과 함께 다른 종과의 경쟁을 피하기 위해서다. 쌀쌀한 날씨, 온돌방이 그리워지는 한 밤중에 짝짓기를 하는데 이르면 11월 늦으면 12월까지 활동한다... 2024. 12. 20. 겨울에 깨어나는 겨울자나방, 스펀지에서 겨울 나는 매미나방 Erannis golda 참나무겨울가지나방 ♀ 스펀지 만들어 식물상을 파괴하는 매미나방 4월이면 노랑색 털로 뒤덮힌 납작한 스펀지 같은 알집에서 까만 매매나방 애벌레가 나온다. 몸이 커가면서 노랑색 바탕에 검은점, 청록색 무늬가 어우러진 화려한 애벌레가 된다. 온 몸에 수북한 털이 나 있어 송충이처럼 보이기도 하며 가시털에는 독이 있기에 건드리지 않는 것이 좋다. 글쓴이는 별다른 증상이 없었으나 예민한 사람에게는 가려움과 발진이 나올 수 있다. Erannis golda Djakonov, 1929 참나무겨울가지나방 Lepidoptera 나비목 - Geometridae 자나방과 https://omn.kr/226zw 겨울밤에 활개치는 이 나방의 정체가 궁금하다면암수의 모양이 전혀 다른 현상을 성적이형(Sexual dimorphism)이라고 하.. 2024. 11. 27. 겨울밤에 활개치는 이 나방의 정체가 궁금하다면 Pachyerannis obliquaria 앞노랑겨울가지나방 스펀지 만들어 식물상을 파괴하는 매미나방라틴어 학명(Lymantria dispar)에서 속명은 '파괴자'를 뜻하고 종명은 '같지 않다'는 뜻이다. 즉, 암수의 모양이 다르고 수 많은 나무에 피해를 주기에 붙여진 이름이다. 원산지는 유라시아인데 미국으로 건너간 매미나방은 엄청난 산림피해를 야기하고 있다. 현재는 동부에 피해가 집중되고 있으나 곧 북미 전역으로 퍼져나갈 것으로 예상된다. #로봇아닙니다곤충입니다 #로봇아닙니다 #단칼곤충기 #이스톨라니 #daankal #eastolany #인문학곤충기 #단칼에끝내는인문학곤충기 #extrememacro #supermacro Pachyerannis obliquaria (Motschulsky, 1861) 앞노랑겨울가지나방 Lepidoptera 나비목 - Geomet.. 2024. 11. 16. Colotois pennaria 흰점갈색가지나방 오체투지와 오메가로 지구를 측정하는 자나방 곤충 세상에는 자벌레가 오체투지를 하며 오메가를 만든다. 걸을 때 한뼘한뼘 움직이는 모습이 마치 '자를 재는 것 같다'고 해서 자벌레라고 부르며, 영어로는 고리벌레(loopers) 또는 인치벌레(inchworm)라고 한다. 나비목 애벌레는 보통 5쌍의 다리를 가지는데 자벌레는 가슴에 있는 진짜 다리와 배다리(Prolegs) 2쌍만 있어서 걸을 때 한치두치 움직인다. 자벌레가 다 자라서 날개돋이를 하면 자나방이 된다. 날개를 수평으로 활짝 펼치고 앉으며 인편이 기하학적 무늬로 배열되어 있어 눈에 띈다. 자나방의 학명은 Geometridae. 지구를 뜻하는 geo와 재다(measure)를 의미하는 metron의 조합이다. 곧 '지구를 측정하는 벌레'이며 잎을 갉아먹는 산림 해충이 많다. https://o.. 2024. 11. 10. 한밤중 몰래 기어나오는 이 녀석, 못 먹는 게 없습니다 Spodoptera litura 담배거세미나방 폴란드인이 가장 사랑하는 작곡가이자 피아니스트. 쇼팽 하면 녹턴(Nocturne)이 떠오른다. 달밤의 정취를 물씬 느껴볼 수 있는 피아노 연주곡으로서 라틴어 'Nox'에서 유래했다. 녹스는 '밤의 신'이라는 뜻이다. 피아노의 선율이 잔잔한 물결이 되어 서정적인 분위기를 고조시키며 듣는 이의 감정을 북돋는다. 곤충계에는 분위기 있는 밤을 엉망으로 만드는 존재가 있다. 한밤중에 몰래 땅 속에서 기어 나와 농작물을 잘라먹는 밤나방과(Noctuidae) 무리다. 녹턴에서 유래한 말로써 나비류 중에서 가장 숫자가 많다. FAO(유엔식량농업기구)는 세계 식량을 위협하는 곤충으로서 밤나방을 꼽는다. 거세미나방을 영어로는 베는벌레(Cut worm)라고 한다. 식물의 잎과 가지, 뿌리를 가리지 않고 싹뚝 잘라먹기 .. 2024. 11. 5. 감귤, 사과, 복숭아, 석류, 모란 등 20여 종 나무를 해치는 잎말이나방들 종모양 치마 입고 잎밥을 마는 이놈들... 유실수를 해칩니다. 삼보사찰이란, 불보(佛寶), 법보(法寶), 승보(僧寶)를 간직한 절을 말한다. 양산 통도사는 불보사찰 합천 해인사는 법보사찰 순천 송광사는 승보사찰 국보로 지정되어 국립경주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성덕대왕신종은 높이가 약 3.7m에 입지름은 2.3m에 달한다. 무게는 19톤 정도로서 현존하는 우리나라 범종 중에서 가장 크다. 신라의 수준 높은 주조기술을 보여주는 문화재로서 표면에 새겨진 섬세한 비천상과 말로 표현할 수 없는 그윽한 종소리가 에밀레종 전설을 낳았다. 삼보사찰과 더불어 우리나라 5대 사찰에는 구례 화엄사와 부산 범어사가 들어간다. 천년 고찰인 화엄사는 신라 때 연기조사가 창건했다고 전해진다. 이후 자장율사와 도선국사에 의해 중.. 2024. 10. 6. 큰노랑물결자나방 오체투지와 오메가로 지구를 잰다 Gandaritis fixsen 곤충 세상에는 자벌레가 오체투지를 하며 오메가를 만든다. 걸을 때 한뼘한뼘 움직이는 모습이 마치 '자를 재는 것 같다'고 해서 자벌레라고 부른다. 영어로는 고리벌레(loopers) 또는 인치벌레(inchworm)라고 한다. 나비목 애벌레는 보통 5쌍의 다리를 가진다. 그러나 자벌레는 가슴에 있는 진짜 다리와 배다리(Prolegs) 2쌍만 있어서 걸을 때 한치두치 움직인다. 위험을 느끼면 몸을 꼿꼿이 펴고 나뭇가지처럼 보이게 하려고 꼼짝하지 않는다. 오뉴월의 계곡 주변에서 볼 수 있다. 물길을 따라 걷다 보면 후다다닥 날아다니는 놈들이 많다. 노란 빛깔의 나방이 포로롱 솟구쳐서 방정맞게 날갯짓을 한다. https://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 2024. 8. 14. 이전 1 2 3 4 ··· 2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