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Photo/Hymenoptera 벌목53

꿀벌을 낚아채는 말벌... 도심적응력도 뛰어납니다 Vespa mandarinia 장수말벌 등검은말벌이 우리나라에 들어와 생태계를 교란시키고 있다면 미국으로 간 우리나라의 장수말벌은 양봉농가의 골치아픈 존재로 등극해버렸다. 2019년에 미국에서 처음 확인된 장수말벌은 현지에서 '아시아거인말벌(Asian giant hornet)'로 불리우며 천적이 없어 피해가 확산되고 있다. Vespa mandarinia Smith, 1852 장수말벌 Hymenoptera 벌목 - Vespidae 말벌과 https://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2881280&SRS_CD=0000013479 꿀벌을 낚아채는 말벌... 도심적응력도 뛰어납니다1987년 FOX 뉴스에서 첫 방영된 애니메이션 심슨가족(The Simpsons)은 블랙 유머를 곁들여서 미.. 2024. 12. 24.
Parapolybia indica 큰뱀허물쌍살벌 여왕벌 다리를 축 늘어뜨리고 난다 큰뱀허물쌍살벌 여왕벌. 12월 6일. 겨울잠을 자려고 준비중이었다. 나무 구멍 속에서 나와 이러저리 날다가 다시 같은 자리로  온난화 때문이겠지. 12월까지 활동을 하다니 그것도 쌩쌩하게 다리를 늘어뜨리고 나는 모습이, 마치 '화살을 쏜 것'처럼 보인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 쌍살벌. 순 우리말로는 '바다리(뻗은 다리)'라고 하며 영어권에서는 종이집벌(Paper wasp)이라고 부른다. 나무를 갉아내어 잘게 씹은 뒤 타액으로 반죽하여 집을 만들기 때문이다. 뱀허물쌍살벌은 길다란 벌집을 만드는데 허물을 벗어던진 뱀 껍질을 떠올리게 하여 지어진 명칭이다. 몸 길이 약 25mm 정도로 우리나라 전역에서 흔하게 발견되는 제일 큰 쌍살벌을 '왕바다리'라고 한다. 쌍살벌(뱀허물쌍살벌, 제주왕바다리, 등검정쌍살벌, 꼬마.. 2024. 12. 15.
동정 구별 뱀허물쌍살벌, 큰뱀허물쌍살벌 반지의 제왕을 품은 곤충들J.R.R. 톨킨의 에 나온 6명의 난쟁이들도 스웨덴의 곤충학자 칼-요한 헤드퀴비스트(Karl-Johan Hedqvist)에 의해 말벌 속명을 받았다. 그는 전 세계 벌목 곤충 5만종 이상의 표본을 만들었으며, 이 컬렉션은 연재 39화(역사에 남은 과학자의 남다른 제2의 관심사)에서 소개한 찰스 로스차일드의 벼룩과 함께 런던자연사박물관의 대표적인 소장품이다. 그의 기생벌 포트폴리오 가치를 알아본 박물관에서 헤드퀴비스트가 죽고 난 뒤 2011년에 구입했다. 7왕국 가문의 시조가 된 말벌들 조지 R.R. 마틴의 는 오바마 전 대통령이 푹 빠져서 보는 드라마로 우리에게 잘 알려졌다. 대한민국에서는 이란 제목으로 방송을 탔으며 이 시리즈에 나오는 7개 가문의 이름을 따서 말벌에 붙인 속.. 2024. 12. 13.
Polistes jokahamae 빠르게 나는 등검정쌍살벌이지만, 의외로 침이 강하지 않다 다리를 늘어뜨리고 나는 모습이, 마치 '화살을 쏜 것'처럼 보인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 쌍살벌. 순 우리말로는 '바다리(뻗은 다리)'라고 하며 영어권에서는 종이집벌(Paper wasp)이라고 부른다. 나무를 갉아내어 잘게 씹은 뒤 타액으로 반죽하여 집을 만들기 때문이다. 뱀허물쌍살벌은 길다란 벌집을 만드는데 허물을 벗어던진 뱀 껍질을 떠올리게 하여 지어진 명칭이다.가정집 옥상, 빗물막이 장판 아래 집을 짓다. Polistes (Gyrostoma) jokahamae Rodoszkowski, 1887 Hymenoptera 벌목 - Vespidae 말벌과몸 길이 약 25mm 정도로 우리나라 전역에서 흔하게 발견되는 제일 큰 쌍살벌을 '왕바다리'라고 한다. 쌍살벌(뱀허물쌍살벌, 제주왕바다리, 등검정쌍살벌, 꼬마쌍.. 2024. 11. 30.
양봉농가의 자연재해? 등검은말벌이 꿀벌을 잡아먹는 법 Polistes rothneyi koreanus 왕바다리 ♂ 생태계의 조절자 역할을 하는 바다리 몸 길이 약 25mm 정도로 우리나라 전역에서 흔하게 발견되는 제일 큰 쌍살벌을 '왕바다리'라고 한다. 쌍살벌(뱀허물쌍살벌, 제주왕바다리, 등검정쌍살벌, 꼬마쌍살벌 등) 종류는 나비목 애벌레를 잡아먹으므로 천연의 살충제로 작용한다. 왕바다리는 비가 들이치지 않고 뜨거운 햇볕을 막아주는 농가의 처마 밑이나 수목의 가지 사이, 큰 돌이나 바위 아래에 집을 짓는다. 때로는 벌집의 규모가 매우 커져서 1000마리를 넘는 봉군을 만들기도 한다. 원형의 벌집에 수백 마리의 벌떼가 빼곡히 모여 있으면 보면 보통 사람들은 두려움을 느낄 것이나 말벌과는 달리 온순한 편이다.  Polistes rothneyi koreanus Vecht, 1968 왕바다리 수벌Hymenoptera 벌목 .. 2024. 11. 13.
Anoplius samariensis 말벌 신종에 붙은 의외의 이름 '말포이' Anoplius samariensis (Pallas, 1771) 왕무늬대모벌  과거 70년대까지는 자개장이 사치품이었다. 수요가 급증하면 가짜가 생기게 마련이고 품질이 떨어지는 것은 당연하다. 손이 많이 가는 비싼 옻칠 대신에 싸구려 도료를 쓰다 보니 점차로 외면받다가 생활환경의 급변으로 인기를 잃어버렸다.자개 공예의 원류는 신라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당시에는 대모(玳瑁) 거북의 등껍질로 만든 공예품이 부의 상징이었다. 진한 호박색의 등갑에 기하학적인 무늬가 있어서 장식을 해 놓으면 고급스러운 느낌이 물씬 배어 나온다. 그러나 대모 껍질은 구하기가 어려워 여러 대용품을 사용했는데 그 중 하나가 전복 껍데기다.  잠시도 가만 있지 못하고 날았다 앉았다 빨빨거리고 돌아다닌다. 긴 다리에 돋아난 갈퀴 같은.. 2024. 8. 9.
Eumenes architectus Smith, 1858 민호리병벌 동네 뒷산에 산책 갔다가 참나무 가지에 만들어 놓은 호리병을 발견했다. 지름이 15mm 정도로 보인다. 6월말 이었나? 7월 25일에 호리병 흙집에서 성체가 나왔다. 민호리병벌. 로 추정하고 있다. 다른 호리병벌과는 달리 둥지 입구를 꼭 막아놨다. 입구 구멍이 뽕~ 뚫리지 않았다는 얘기.  민호리병벌 만의 특징인지 개체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는지는 알 수 없다. 몸길이는 20mm 정도다.  이렇게 가까이서 접사로 녀석을 들여다보니 새삼스럽게 신기해보인다. Eumenes architectus Smith, 1858Hymenoptera 벌목 - Eumenidae 호리병벌과  \ https://omn.kr/23d6z  말벌 신종에 붙은 의외의 이름 '말포이'"내가 그의 이름을 불러 주었을 때 그는 나에게로 와서.. 2024. 7. 30.
황다리납작맵시벌 사향제비나비에 기생 Apechthis capulifera 사향제비나비는 수컷의 몸에서 사향 냄새가 나서 붙여진 이름이다. 산제비나비는 석주명 선생이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나비로 추천했을 만큼 자태가 아름답다. 품위있는 검은색 몸매에 코발트색 비늘이 햇볕을 반사하여 청동색으로 바뀌면 밤하늘의 미리내를 보는 듯하다. 학명으로 서치해보니 국립생물자원관에도 자료가 나온다. 2022년 국가생물종목록을 들여다봤더니 6종이 기록되어 있다.  세계적인 분포를 보이며 나비목 곤충에 기생한다. 황다리납작맵시벌이 거의 확실시 된다.  (다음으로 유력한 놈은 동양주홍납작맵시벌.)  https://omn.kr/23bzf 역적 자손의 험난한 삶... 초충도로 표현해내다세상살이에 미숙했지만, 그림만큼은 독보적이었던 현재 심사정www.ohmynews.com 역적 자손의 험난한 삶... 초충.. 2024. 7. 15.
Dolichomitus curticornis   국명 바뀐 작은꼬리납작맵시벌맵시벌 작은꼬리납작맵시벌 --> 작은흑마디꼬리납작맵시벌 2022 국가생물종목록 을 보니 국명이 바뀌었다. 산란관집으로 바싹 마른 죽은 나무를 뚫고 알을 깐다. 산란관집에서 바늘같은 침이 수납되어 있다. 산란관집은 바늘침을 보호한다. 반으로 쪼개진 빨대관을 생각하면 된다.     알 낳기 위해 이렇게 긴 꼬리를... 이 곤충을 아시나요 긴 산란관이 신기한 말총벌, 작은꼬리납작맵시벌, 납작혹벌 https://omn.kr/1yani 알 낳기 위해 이렇게 긴 꼬리를... 이 곤충을 아시나요긴 산란관이 신기한 말총벌, 작은꼬리납작맵시벌, 납작혹벌www.ohmynews.comDolichomitus curticornis (Perkins, 1943) 작은흑마디꼬리납작맵시벌 Hymenoptera 벌목 - Ichneumonida.. 2024. 5.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