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Photo/Coleoptera 딱정벌레목183

Calosoma maximowiczi Morawitz, 1963 검정명주딱정벌레 딱정벌레 치고는 몸통이 약간 펑퍼짐한 녀석. 맨눈으로 보면 검은색이나 환한 빛 아래서 보면 청록색이 감도는 까만색에 약간의 보라끼가 있다. 딱정벌레류는 위험을 느끼면 역한 냄새를 풍긴다. 똥이 암모니아 속에서 썩어가는 내음이라고나할까? 폐와 콧속에 악취가 달라부터 안 떨어지는 것 같은 느낌이, 그대로 위장속으로 흘러가는듯하다. Calosoma maximowiczi Morawitz, 1963 검정명주딱정벌레 Coleoptera 딱정벌레목 - Carabidae 딱정벌레과 2016. 11. 5.
Gallerucida flavipennis Solsky, 1872 솔스키잎벌레 우유빛이라고나 할까? 라드색이라고나 할까? 처음에는 탈피한지 얼마 되지 않아서 아직 딱지날개가 굳지 않은줄 알았다. 딱정벌레 세계에서 흔치 않은 몸 색깔을 가졌다. 하기사 잎벌레들은 체색이 화려한 놈들이 많으니깐두루가설라무네니라왈가라사대. Gallerucida flavipennis Solsky, 1872 솔스키잎벌레 Coleoptera 딱정벌레목 - Chrysomelidae 잎벌레과 2016. 10. 25.
Exechesops leucopis (Jordan, 1928) 소바구미 ♀ 정면에서 면상을 보면 마치 소의 얼굴처럼 생겼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암컷 보다는 수컷이 더 소의 낯짝처럼 생겼다. 좌우로 툭 튀어나온 눈이 정말로 소를 닮았다. Exechesops leucopis (Jordan, 1928) 소바구미 Coleoptera 딱정벌레목 - Anthribidae 소바구미과 2016. 9. 28.
Chromogeotrupes auratus (Motschulsky, 1857) 보라금풍뎅이 강원도의 청정 지역에서만 볼 수 있는 보라금풍뎅이.햇빛 아래에서 보면 광택이 나는 금보랏빛이 무척이나 아름답다.전체적으로 검보라색이지만 보는 각도에 따라서는 청색 기운과 함께 녹색끼도 살짝 감돈다.반출 금지종으로 등록되어 있는 녀석이다.      색깔은 보석처럼 아름다운데 똥을 먹고 산다.동물의 배설물 뿐만 아니라 사람의 대변에도 꼬인다.외모와 식성이 전혀 어울리지 않는 곤충.                     Chromogeotrupes auratus (Motschulsky, 1857) 보라금풍뎅이Coleoptera 딱정벌레목 - Geotrupidae 금풍뎅이과          보라금풍뎅이와 놀기  정부 허락 없이 외국 가져가면 안 된다는 풍뎅이?   딱지 날개가 매끈매끈, 작은 녀석임에도 상당히 힘.. 2016. 8. 25.
Crytoclytus capra (Germar, 1824) 벌호랑하늘소 벌을 흉내낸(의태) 벌호랑하늘소. 꽃이 핀 곳에서 흔히 만날 수 있는 녀석이다. 암컷으로 추정되며 평소에는 볼 수 없는 생식기를 드러내고 있다. Crytoclytus capra (Germar, 1824) 벌호랑하늘소 Coleoptera 딱정벌레목 - Cerambycidae 하늘소과 2016. 8. 5.
Dicranocephalus adamsi Pascoe, 1863 사슴풍뎅이 ♂ 처음 보면 우리나라에 사는 곤충 같지 않은 사슴풍뎅이. 5월의 참나무 숲에서 심심치 않게 볼 수 있다. 방어수단이라고는 저 긴 앞다리를 펼쳐 허세를 부리는 것이 전부다. 참나수 진액을 먹고 사는 몹시나 순한 녀석이다. 아유~ 귀여워라. Dicranocephalus adamsi Pascoe, 1863 사슴풍뎅이 Coleoptera 딱정벌레목 - Cetoniidae 꽃무지과 2016. 8. 3.
Dendroxena sexcarinata Motschulsky, 1858 네눈박이송장벌레 죽은 짐승을 처리하는 송장벌레류는 다른 나라에서도 그다지 좋아하는 곤충은 아니다. 영어의 경우 아주 직설적으로 부르고 있는데 Carrion beetle 라고 한다. 말 그대로 썩은 고기를 먹는 딱정벌레. 또한 Burrying beetel 혹은 gravedigger 라고도 하는데, 모두 녀석이 동물 사체를 요리하는 모습에서 연유한다. 대부분 검은 색을 띄고 무늬가 칙칙하지만, 이 녀석 네눈박이송장벌레는 제법 봐 줄만 하다. 이 놈들은 송장벌레 집안에서도 식성이 특이하다. 애벌레 때는 동물의 사체를 먹지만, 커서는 나비목 애벌레를 잡아먹거나 참나무 수액을 섭취한다. Dendroxena sexcarinata Motschulsky, 1858 네눈박이송장벌레 Coleoptera 딱정벌레목 - Silphidae 송.. 2016. 8. 2.
Sternuchopsis trifidus (Pascoe, 1870) 배자바구미 배자가 무슨 뜻인가 찾아봤더니만, 한복 저고리 위에 덧입는 옷이라고 나온다. 소매가 없기 때문에 양복의 조끼를 떠올리면 된다. 흑백으로 이루어진 녀석의 모습이 배자처럼 보일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다. Sternuchopsis trifidus (Pascoe, 1870) 배자바구미 Coleoptera 딱정벌레목 - Erirhinidae 벼바구미과 2016. 7. 24.
Episcapha gorhami Lewis, 1879 고오람왕버섯벌레 죽어가는 나무에 돗아난 균사를 먹고 있는 고오람왕버섯벌레. 구슬보라거저리도 함께 모여서 다툼없이 식사중. Episcapha gorhami Lewis, 1879 고오람왕버섯벌레 Coleoptera 딱정벌레목 - Erotylidae 버섯벌레과 2016. 7.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