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Photo/Odonata 잠자리목20

Davidius lunatus 쇠측범잠자리 산지 계곡의 맑은물 근처에서 볼 수 있다. 다른 잠자리에 비해서 활동량이 적은 편이다. 겹눈의 컬러가 비취색이다. 상감청자의 비색. Davidius lunatus (Bartenef, 1914) 쇠측범잠자리 Odonata 잠자리목 - Gomphidae 측범잠자리과 2019. 7. 7.
Extreme Macro 묵은실잠자리 Sympecma paedisoa 4월 부터 11월까지 활동하는 녀석이다. 산지의 숲에서 성충으로 겨울을 난다. 가느다란 몸매지만 혹한을 견뎌내는 진화가 놀랍다. 비록 그것이 동면이라는 현상이기는 하지만. Sympecma paedisoa (Brauer, 1877) 묵은실잠자리 Aeshnidae 왕잠자리과 - Lestidae 청실잠자리과 2019. 4. 22.
Davidius lunatus (Bartenef, 1914) 쇠측범잠자리 산지의 계곡에서 어렵지 않게 볼 수 있는 쇠측범잠자리가 회황색병대벌레를 잡아먹고 있다. 이름에서 접두어 쇠는 약간 부족함이 있다는 의미이다. 가령 쇠살모사 라고 한다면 살모사보다 작고 몸빛이 탈색된 뱀을 말한다. 그 다음 측범은 줄무늬를 뜻한다. Davidius lunatus (Bartenef, 1914) 쇠측범잠자리 Odonata 잠자리목 - Gomphidae 측범잠자리과 2018. 9. 14.
Super Macro 방울실잠자리 Platycnemis phyllopoda Djakonov, 1926 수컷의 다리에 하얀 빗모양 털이 붙어 있는 방울실잠자리. 암컷은 아무런 장식모가 없어 수수하다. 아무래도 알을 낳아야 하므로 눈에 띄지 않도록 진화한 결과. Odonata 잠자리목 - Platycnemididae 방울실잠자리과 Platycnemis phyllopoda Djakonov, 1926 방울실잠자리 best macro images click her for more cat story 2017. 10. 17.
Orthetrum albistylum Selys, 1848 밀잠자리 성충 밀잠자리 수컷. 어릴적에는 말잠자리라고 부르는 줄 알았음. 영명은 White-tailed skimmer. 배 부분이 하얀색이라 붙여진 이름. 조금은 공격적인 녀석이라 된장잠자리를 잡아먹는 장면을 흔하게 볼 수 있다. Orthetrum albistylum Selys, 1848 밀잠자리 Odonata 잠자리목 - Libellulidae 잠자리과 2017. 10. 13.
Calopteryx japonica Selys, 1869 물잠자리 보는 각도에 따라서 날개빛이 청록색에서 검은색으로 바뀐다. 깨끗한 개울가에서 많이 볼 수 있는데 눈치가 무척 빠르다. 나는 모습이 너울너울 여유롭다. Calopteryx japonica Selys, 1869 물잠자리 Odonata 잠자리목 - Calopterygidae 물잠자리과 best macro images cats story 2016. 4. 23.
Sympetrum risi Bartenef, 1914 들깃동잠자리 ♀ 날개 끝이 검은색이라 붙여진 이름이렸다. 짜장면 먹을 때 딸려온 소스 색깔과 비슷하다. Sympetrum risi Bartenef, 1914 들깃동잠자리 ♀ Odonata 잠자리목 - Libellulidae 잠자리과 2016. 1. 19.
Coenagrion johanssoni (Wallengren, 1894) 참실잠자리 실잠자리류는 곤충 중에서 유일하게 후진 비행을 할 수 있는 녀석들이다. 흔히 볼 수는 없지만, 마치 우주 유영을 하듯이 뒷날개를 방향타 삼아 뒤로 날아간다. 언젠가 이 모습을 한번 사진으로 담아야 하는데.....ㅎㅎㅎ 한편, 잠수산란(물속에 들어가서 알 낳는)은 운좋게 촬영할 수 있었음. Coenagrion johanssoni (Wallengren, 1894) 참실잠자리 Odonata 잠자리목 - Coenagrionidae 실잠자리과 2016. 1. 19.
Anax parthenope julius Brauer, 1865 왕잠자리 수초가 많은 연못 주위를 매우 빠르게 비행하면서 먹이를 사냥하는 왕잠자리. 녀석의 겹눈을 매크로 촬영해보면 그 정교하기 이를데 없는 조형미에 감탄하게 된다. 벌집과 같은 육각형의 밀집 구조는 가장 안정적인 자연의 질서라고 할 수 있다. Anax parthenope julius Brauer, 1865 왕잠자리 Odonata 잠자리목 - Aeshnidae 왕잠자리과 best macro images cat story 2016. 1.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