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Photo/Coleoptera 딱정벌레목183

Chrysochus chinensis Baly, 1859 중국청람색잎벌레 보는 각도에 따라서, 태양의 위치에 따라서 보랏빛과 검정색이 절묘하게 어우러진 녀석. 카메라가 잘 캐취하지 못하는 색이 보라색이다. 그 이유는 색의 파장이 다른색에 비해 좁기 때문이다. Chrysochus chinensis Baly, 1859 중국청람색잎벌레 Coleoptera 딱정벌레목 - Chrysomelidae 잎벌레과 2016. 1. 19.
Chlorophorus simillimus (Kraatz, 1879) 육점박이벌하늘소 쓰러진 나무에 알을 낳는 하늘소 애벌레는 나무 속을 파먹고 자라 성충이 된다. 나무에 숭숭 구멍이 뚫린 것은 상당부분 하늘소가 뚫고 나온 것임. Chlorophorus simillimus (Kraatz, 1879) 육점박이벌하늘소 Coleoptera 딱정벌레목 - Cerambycidae 하늘소과 2016. 1. 19.
Calvia muiri (Timberlake, 1943) 네점가슴무당벌레 우화 날개돋이 중간쯤에 발견한 네점가슴무당벌레. 속날개를 접어서 딱지날개 아래에 차분히 위치시킨다. 시간이 지나면서 점무늬가 나타나고 점차 제 색깔을 낸다. Calvia muiri (Timberlake, 1943) 네점가슴무당벌레 Coleoptera 딱정벌레목 - Coccinellidae 무당벌레과 best macro images cats story 2016. 1. 19.
Perissus faimairei Gressitt, 1940 작은호랑하늘소 하늘소 치고는 더듬이 길이가 작다. 대개의 하늘소가 제 몸보다 긴 더듬이를 가진데 비해.... Perissus faimairei Gressitt 작은호랑하늘소 Coleoptera 딱정벌레목 - Cerambycidae 하늘소과 2016. 1. 19.
Leptura aethiops Poda, 1761 꽃하늘소 시커먼 녀석에 왜 꽃이라는 단어가 들어갔을까? 꽃에서 쉽게 볼 수 있기에 붙여진 이름이다. Leptura aethiops Poda, 1761 꽃하늘소 Coleoptera 딱정벌레목 - Cerambycidae 하늘소과 2016. 1. 19.
Corymbia rubra (Linnaeus, 1758) 붉은산꽃하늘소 벤취 틈새에 알을 낳고 있는 붉은산꽃하늘소 개미도 들어가기 어려울 정도로 좁은 틈. 겨울을 무사히 나고 어른 꽃하늘소가 되길. Corymbia rubra (Linnaeus, 1758) 붉은산꽃하늘소 Coleoptera 딱정벌레목 - Cerambycidae 하늘소과 2016. 1. 19.
Coccinellidae 무당벌레과 무당벌레 애벌레는 분명한데, 조금 더 자라봐야 정확한 종을 알 수 있음. 새끼 손가락과 비교해보면 그 크기를 알 수 있을 것임. 쌀알 같은 모양으로 봐서 무당벌레 애벌레가 거의 확실함. Coccinellidae 무당벌레과 2016. 1. 19.
Cephaloon pallens (Motschulsky, 1860) 목대장 나무 틈새에 알을 낳고 있는 목대장. 내가 볼 때는 그렇게 목이 길어 보이지는 않는데 ㅎㅎ 검은색 바탕의 딱지날개에 노랑색 줄무늬가 조금 색이 바랬다. Cephaloon pallens (Motschulsky, 1860) 목대장 Coleoptera 딱정벌레목 - Cephaloidae 목대장과 best macro images cat story 2016. 1. 19.
Galeruca vicina Solsky, 1872 한서잎벌레 엄청난 양의 알을 품고 있는 한서잎벌레. 배마디가 너무 커서 딱지날개를 한참이나 작아 보인다. 어떻게 보면 발육부진으로도 보이네. ㅎㅎ Galeruca vicina Solsky, 1872 한서잎벌레 Coleoptera 딱정벌레목 - Chrysomelidae 잎벌레과 2016. 1.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