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1423 Euproctis pulverea (Leech, 1888) 꼬마독나방, 열꽃이 피다 독나방이라는 이름 때문일까? 녀석의 날개에는 마치 피부 질환이 생긴 듯, 아토피가 번진듯한 느낌의 무늬가 있다. Euproctis pulverea (Leech, 1888) 꼬마독나방 Lepidoptera 나비목 - Lymantriidae 독나방과 2016. 3. 23. Distenia gracilis (Blessig, 1872) 깔따구하늘소 깔따구라고 하면 모기와 유사하지만 피를 빨지 않는 곤충이다. 그 녀석을 수십배 확대해 놓은 것처럼 생겼다고 해서 이름 지었을것임. 제 몸보다 더 긴 더듬이를 빼고 보면, 그럴 수 있겠다는 생각이다. Distenia gracilis (Blessig, 1872) 깔따구하늘소 Coleoptera 딱정벌레목 - Cerambycidae 하늘소과 2016. 3. 22. Favonius korshunovi (Dubatolov et Sergeev, 1982) 깊은산녹색부전나비 수컷의 윗날개가 광택이 도는 금속성 청록색이라 붙여진 이름. 암컷은 수수한 갈색이다. 학명이 기재된 해가 1982년이니 아주 최근이다. 바꿔말한다면 외모가 비슷한 녀석들이 많아서 동정에 어려움이 있다는 얘기. Favonius korshunovi (Dubatolov et Sergeev, 1982) 깊은산녹색부전나비 Lepidoptera 나비목 - Lycaenidae 부전나비과 2016. 3. 20. 깃털과 참빗 참빗이 깃털을 흉내낸 것일까? 요즘은 참빗을 보기 힘들지만, 예전에는 필수품 중의 하나였지. 서캐(이)가 알을 까면서 끈적끈적한 점액질로 머리카락에 붙여놓기 때문에 참빗이 아니고서는 제거할 수가 없었음. best macro images cats story 2016. 3. 19. Leptura arcuata Panzer, 1793 긴알락꽃하늘소 스프링, 스프링, 스프링, 용수철이란 뜻과 함께 봄이라는 의미도 가졌다. 봄은 서양이나 동양이나 할 것 없이, 용수철처럼 새싹이 파릇파릇 돋아난다는 생각이렸다. 봄꽃이 피어난 곳이라면 어디서나 쉽게 볼 수 있는 꽃하늘소. Leptura arcuata Panzer, 1793 긴알락꽃하늘소 Coleoptera 딱정벌레목 - Cerambycidae 하늘소과 2016. 3. 18. Helota fulviventris Kolbe, 1886 고려나무쑤시기, 게걸음이 귀엽다 참나무 진액이 흐르는 곳에서 쉽게 볼 수 있는 녀석이다. 평소에는 나무 틈 새 속에 숨어 있어 잘 보이지 않는 경우가 더 많다. 체형도 납작하고 외형이 나무 껍질과 비슷하게 적응했다. 하는 행동이 귀엽다. 위협을 느끼면 게 걸음으로 살짝살짝 뛰는듯 마는듯 하면서 좌우로 움직인다. 아마 곤충 중에서 유일하게 옆걸음을 하는 놈이 아닐까 싶다. 이와 같은 사이드 스텝은 적응 진화의 결과인것으로 보인다. 참나무 수피에서 수액을 먹고 짝짓기를 하기 위해서는, 위아래로 이동하는 것도 중요하고 옆으로 움직이는 것도 필요하기 때문이다. Coleoptera 딱정벌레목 - Helotidae 나무쑤시기과 Helota fulviventris Kolbe, 1886 고려나무쑤시기 2016. 3. 17. Halyomorpha halys (Stål, 1855) 썩덩나무노린재 알과 유충 세심하게 만든 공예품, 요강을 위로 살짝 잡아 뽑은 듯한 모양. 옆에 있는 갈색의 삼각형 모양이 알을 까고 나올 때 쓰는 도구. 바로 알따개다. 이 자연의 구조를 응용한 것이 참치캔이다. 절개선을 째고 나올때 쓰는 알따개에는 탄성있는 고무줄과 같은 조직이 붙어 있다. 애벌레가 알을 까고 나올 때, 이 알따개가 떨어지지 않도록 잡아주는 역할을 한다. 우측에 한 녀석이 성공적으로 부화하지 못하고 죽어 있음. Halyomorpha halys (Stål, 1855) 썩덩나무노린재 Hemiptera 노린재목 - Pentatomidae 노린재과 best macro images cats story 2016. 3. 16. Ussuriana michaelis (Oberthür, 1881) 금강산귤빛부전나비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금강산에서 최초 보고되어 명명된 이름이다. 중부지방이 서식 한계지역이다. 온난화가 진행되면서 강원도나 그 위쪽 지역에서만 보게될 것이다. Ussuriana michaelis (Oberthür, 1881) 금강산귤빛부전나비 Lepidoptera 나비목 - Lycaenidae 부전나비과 2016. 3. 16. Catocala fulminea (Scopoli, 1763) 광대노랑뒷날개나방 화려한, 뒷날개를 감추고 있는 녀석. 위협을 느끼면 앞날개를 펼쳐서 공격자를 깜짝 놀라게 한다. Catocala fulminea (Scopoli, 1763) 광대노랑뒷날개나방 Lepidoptera 나비목 - Noctuidae 밤나방과 2016. 3. 14. 이전 1 ··· 123 124 125 126 127 128 129 ··· 15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