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Photo1423

Eurema hecabe (Linnaeus, 1758) 남방노랑나비 Extreme macro 노랑 바탕에 검은색 점무늬가 마치 턱시도를 입은 듯 하군. 미늘같은 진노랑색 몸이 보기 좋구나. Eurema hecabe (Linnaeus, 1758) 남방노랑나비 Lepidoptera 나비목 - Pieridae 흰나비과 best macro images cats story 2016. 9. 9.
Gerris (Macrogerris) gracilicornis (Horváth, 1879) 등빨간소금쟁이, Extreme Macro 날개싹이 나기 시작한 소금쟁이 유충.빠르게 움직이므로 사진으로 담기가 무척 어렵다.드러난 배를 보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등빨간소금쟁이 애벌레로 추정한다.           Gerris (Macrogerris) gracilicornis (Horváth, 1879) 등빨간소금쟁이Hemiptera 노린재목 - Gerridae 소금쟁이과    best macro images        cats story 2016. 9. 5.
Edessena hamada (Felder et Rogenhofer, 1874) 쌍복판눈수염나방 주둥이가 상투처럼 생긴 눈수염나방 대가리를 거의 들지 않아서 겹눈 찍기가 제한적이다. 다리의 절반은 털로 뒤덮였으며 나머지 반은 매끈하다. Edessena hamada (Felder et Rogenhofer, 1874) 쌍복판눈수염나방 Lepidoptera 나비목 - Noctuidae 밤나방과 2016. 9. 1.
Danaus genutia (Cramer, 1779) 별선두리왕나비 ♂, Extreme macro 다큐멘터리 채널에서 감상할 수 있는 모나크왕나비의 대이동.멕시코에서 북미까지 수천킬로 미터를 이동하는 수십억 마리의 나비떼.그 과에 속한 별선두리왕나비다. 동남아에서 우리나라 남부 까지 이동하는 철새가 아니고 철접蝶.한여름에 간혹 가끔 볼 수 있으며 겨울을 나지는 못하기에 미접迷蝶 으로 분류된다.                                                                          Danaus genutia (Cramer, 1779) 별선두리왕나비Lepidoptera 나비목 - Nymphalidae 네발나비과        best macro images        cats story 2016. 8. 30.
Extreme Macro 범부전나비 Rapala caerulea (Bremer et Grey, [1851]) 날개무늬가 호랑이의 줄무늬를 연상시킨다고 하여 이름 붙여진 범부전나비.부전나비류는 애벌레 시절에 개미에 의해서 보살핌을 받는다고 알려져있다.여러 종류의 개미들이 유충을 개미굴로 데리고 가서 애지중지 키운다고 한다.                                       Rapala caerulea (Bremer et Grey, [1851]) 범부전나비Lepidoptera 나비목 - Lycaenidae 부전나비과          best macro images        cats story 2016. 8. 27.
Pieris rapae (Linnaeus, 1758) 배추흰나비 교미 주변에서 흔히 만나는 배추흰나비. 자세히 들여다보면 노랑 기운도 강하고 날개 기부에는 바늘로 찔러놓은 것 같은 검은점이 수두룩. Pieris rapae (Linnaeus, 1758) 배추흰나비 Lepidoptera 나비목 - Pieridae 흰나비과 2016. 8. 26.
Chromogeotrupes auratus (Motschulsky, 1857) 보라금풍뎅이 강원도의 청정 지역에서만 볼 수 있는 보라금풍뎅이.햇빛 아래에서 보면 광택이 나는 금보랏빛이 무척이나 아름답다.전체적으로 검보라색이지만 보는 각도에 따라서는 청색 기운과 함께 녹색끼도 살짝 감돈다.반출 금지종으로 등록되어 있는 녀석이다.      색깔은 보석처럼 아름다운데 똥을 먹고 산다.동물의 배설물 뿐만 아니라 사람의 대변에도 꼬인다.외모와 식성이 전혀 어울리지 않는 곤충.                     Chromogeotrupes auratus (Motschulsky, 1857) 보라금풍뎅이Coleoptera 딱정벌레목 - Geotrupidae 금풍뎅이과          보라금풍뎅이와 놀기  정부 허락 없이 외국 가져가면 안 된다는 풍뎅이?   딱지 날개가 매끈매끈, 작은 녀석임에도 상당히 힘.. 2016. 8. 25.
Gloydius ussuriensia (Emelianov, 1929) 쇠살모사 경고하는 꼬리 우리말의 접두어 '쇠'는 약간 품격이 떨어지는 대상을 지칭할 때 쓴다. 쇠살모사의 경우 살모사 보다 작고 몸 색깔이 흐릿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이러한 쓰임새는 동식물에 많이 나타나며, 한자어가 침투하지 못한 우리 고유의 영역이다. 예를 들자면 쇠기러기, 쇠박새, 쇠딱다구리, 쇠부엉이, 쇠백로, 쇠비름, 쇠미역, 등등. 오뉴월 볕이 따갑게 느껴지는 때 어느 산자락의 계곡에서 만난 쇠살모사. 방울뱀처럼 꼬리를 파라라락 흔들어 경고를 하고 있다. 가까이 다가오면 물거야!!!! Squamata 뱀목 - 뱀과 Colubridae Gloydius ussuriensia (Emelianov, 1929) 쇠살모사 2016. 8. 24.
Rhene albigera (Carl Ludwig Koch 1848) 흰띠까치깡충거미 ♂ 앞다리가 주먹대장처럼 크고 튼실하게 생긴 녀석이다. 허벅다리를 팔과 바꿔서 이식한 듯한 느낌이라고나할까. 약간은 야만적이고 조금은 노골적이며 이질적인 분위기다. 몸통의 양 옆으로 노란색 털이 듬성듬성 약간의 테를 이루며 나있다. 머리는 갑자기 꺽어지는 T자형 인데, 새송이버섯과 비슷한 경사를 가진다. 쉴때는 몸을 움추려서 부피를 작게 만들며, 이때 앞다리가 T자형 머리에 빈틈없이 들어맞는다. Rhene albigera (C.L.koch 1848) 흰띠까치깡충거미 Aracneae 거미목 - Salticidae 깡충거미과 best images 2016. 8.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