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Photo1423

가뭄으로 물길이 낮아진 팔당댐 염소들 가뭄으로 바닥 근처까지 물 수위가 낮아진 팔당댐.뱃길도 중간에 내려서 한 참을 걸어야 건너편에 도착한다.흑염소 두 마리가 거친 절벽 경사면을 타고 내려왔다.평상시에는 저 꼭대기까지 물이 찼었는데....   위치 2016. 12. 23.
Argyreus hyperbius (Linnaeus, 1763) 암끝검은표범나비 우리나라 남부 지방에 주로 서식하는 암끝검은표범나비. 네발나비과에 속한 녀석이다. 곤충의 다리는 6개인데 이 녀석들은 앞다리가 퇴화되어 네발이다. 여섯발이 보다 네발로 진화한 것에는 비행 능력을 더 높이기 위한 진화의 산물. Argyreus hyperbius (Linnaeus, 1763) 암끝검은표범나비 Lepidoptera 나비목 - Nymphalidae 네발나비과 2016. 12. 22.
Sinopoda stellata (Schenkel 1963) 별농발거미 ♀ 우리나라에 서식하는 거미 중에서 가장 큰 몸집을 가진 별농발거미. 둔해 보이는 몸이지만 실제로는 빠르기 그지 없다. 거미줄을 치지 않고 돌아다니면서 사냥을 한다. Sinopoda stellata (Schenkel 1963) 별농발거미 ♀ Aracneae 거미목 - Sparassidae 농발거미과 2016. 12. 20.
Harpocera choii Josifov, 1977 최고려애장님노린재 ♀ 허약해 보이는 외모를 가진 장님노린재류. 대부분 쌀알 정도의 크기이며 어디서나 흔하게 볼 수 있음. Harpocera choii Josifov, 1977 최고려애장님노린재 Hemiptera 노린재목 - Miridae 장님노린재과 2016. 12. 16.
Nymphalis xanthomelas (Denis et Schiffermüller, 1775) 들신선나비, Extreme Macro 예민하기 그지없는 신선나비들. 우리나라에는 4종의 신선나비가 있다. 청띠신선나비, 들신선나비, 갈구리신선나비, 신선나비. 앞의 2종은 흔하게 볼 수 있는데, 뒤의 두 녀석들은 북한과 강원도 깊은 두메산골에서나 겨우 볼 수 있다. Nymphalis xanthomelas (Denis et Schiffermüller, 1775) 들신선나비 Lepidoptera 나비목 - Nymphalidae 네발나비과 best macro images cats story 2016. 12. 15.
Pisaura lama Bösenberg et Strand 1906 아기늪서성거미 풀잎에 앉아 있는 모습을 흔하게 볼 수 있는 아기늪서성거미. 수풀 사이에 엉성하게 거미줄을 치고 생활하며 동작이 매우 빠르다. Pisaura lama Bösenberg et Strand 1906 아기늪서성거미 Aracneae 거미목 - Pisauridae 닷거미과 2016. 12. 12.
Hygia opaca (Uhler, 1860) 애허리노린재 아스팔트 위에서 교미중인 애허리노린재 한 쌍. 종을 보존하기 위한 녀석들의 노력은 생사의 위험을 초월한다. Hygia opaca (Uhler, 1860) 애허리노린재 Hemiptera 노린재목 - Coreidae 허리노린재과 2016. 12. 9.
Ditrigona conflexaria (Walker, 1861) 물결줄흰갈고리나방 ♀ 암컷으로 추정된다. 갈고리나방 특유의 휘어진 날개 끝이 확 눈에 띄지는 않는다. Ditrigona conflexaria (Walker, 1861) 물결줄흰갈고리나방 Lepidoptera 나비목 - Drepanidae 갈고리나방과 2016. 12. 8.
Ectropis aigneri Prout, 1930 연회색가지나방 ♀ 가지나방 종류중에서는 그나마 식별이 용이한 연회색가지나방. 더듬이가 실모양이라서 암컷으로 보인다. 수컷은 빗살 모양. Ectropis aigneri Prout, 1930 연회색가지나방 Lepidoptera 나비목 - Geometridae 자나방과 2016. 12.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