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Photo1423

Super Macro 수중다리밤나방 Dysgonia stuposa (Fabricius, 1794) 수중다리는 두가지 어원이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첫째는 애벌레가 물속(수중)에서 생활하기에 붙여진 이름. 두번째는 다리가 부어(수종)올라 퉁퉁하게 보여진다는 의미. 수중다리밤나방은 후자에 속한다. Dysgonia stuposa (Fabricius, 1794) 수중다리밤나방 Lepidoptera 나비목 - Noctuidae 밤나방과 2019. 12. 8.
Super Macro 별박이자나방 Nexa seriaria 하얀 바탕에 까만 점이 콕콕 박혀있다. 애벌레는 광식성이라 쥐똥나무를 비롯하여 여러 나무의 잎을 먹는다. 유충 때는 백색과 노랑색의 바탕에 검은 점무늬가 산재하고 듬성듬성 털이 나 있다. Nexa seriaria (Motschulsky, 1866) 별박이자나방 Lepidoptera 나비목 - Geometridae 자나방과 2019. 12. 7.
Calosoma maximowiczi 검정명주딱정벌레 대개의 딱정벌레류는 속날개가 퇴화되어 날지를 못한다. 그러나 검정명주딱정벌레는 예외로서 비행을 할 수 있다. 나는 모습을 쉽게 접할 수는 없지만 멋진 속날개를 보여주고 있다. Calosoma maximowiczi Morawitz, 1963 검정명주딱정벌레 Coleoptera 딱정벌레목 - Carabidae 딱정벌레과 2019. 12. 6.
Cinygmula grandifolia 봄처녀하루살이 ♂ 몸길이는 15mm 정도이며 전국적으로 분포한다. 맑은 물이 흐르는 계곡 근처에서 볼 수 있다. 4월에 출현하며 성충으로 사는 기간이 열흘 이내로 짧다. Cinygmula grandifolia Tshernova, 1952 봄처녀하루살이 Ephemeroptera 하루살이목 - Heptageniidae 납작하루살이과 2019. 12. 5.
Rhynocoris leucospilus (Stål, 1859) 배홍무늬침노린재 몸길이 15mm 정도로 제법 큰 녀석이다. 다른 곤충의 몸에 주둥이 침을 꽂아 체액을 빨아먹는다. 머리가 작고 가슴과 배가 크게 발달했다. Rhynocoris leucospilus (Stål, 1859) 배홍무늬침노린재 Hemiptera 노린재목 - Reduviidae 침노린재과 2019. 12. 4.
대유동방아벌레, 빨간 날개가 멋지다 방아벌레류는 모두 몸통은 긴데 다리는 짧다. 뒤집히면 몸을 움추리고 있다가 "딱' 소리와 함께 튀어 오른다. 이 모습이 방아찧기와 비슷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Agrypnus argillaceus (Solsky, 1970) 대유동방아벌레 Coleoptera 딱정벌레목 - Elateridae 방아벌레과 2019. 12. 3.
Wilemania nitobei 니도베가지나방 애벌레 가리는 것이 없이 여러나무의 잎을 갉아먹고 산다. 등불에도 잘 유인되며 낮에는 꼼짝않고 쉰다. 마치 갈기처럼 머리와 가슴에 털이 수북하다 Wilemania nitobei (Nitobe, 1907) 니도베가지나방 Lepidoptera 나비목 - Geometridae 자나방과 2019. 12. 2.
Arma custos (Fabricius, 1794) 갈색주둥이노린재 다른 곤충의 애벌레를 사냥한다. 긴 주둥이를 피식자의 몸통에 찔러넣고 체액을 빨아 먹는다. 몸 길이는 15mm 내외까지 자란다. Arma custos (Fabricius, 1794) 갈색주둥이노린재 Hemiptera 노린재목 - Pentatomidae 노린재과 2019. 12. 1.
Habronyx elegans 어리곤봉자루맵시벌 가슴과 배를 잇는 자루마디가 실처럼 가늘다. 오뉴월 참나무 새순이 나는 곳에서 관찰된다. 맵시벌류는 다른 곤충에 기생하여 세대를 이어간다. Habronyx elegans (Shestakov, 1923) 어리곤봉자루맵시벌 Hymenoptera 벌목 - Ichneumonidae 맵시벌과 2019. 11.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