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1423 Apis mellifera Linnaeus, 1758 양봉꿀벌 개체수가 현저히 감소하고 있는 꿀벌.여러가지 가설이 있는데, 그 중 가장 신빙성 있는 것이 휴대폰 때문이란다.이동통신 중계기(기지국) 에서 나오는 전자파가 사람뿐 아니라 동물들에게도 위해를 가하고 있다고 함. Apis mellifera Linnaeus, 1758 양봉꿀벌Hymenoptera 벌목 - Apidae 꿀벌과 best macro images cats story 2016. 1. 19. Helophilus virgatus Coquillett, 1898 수중다리꽃등에 애벌레 시절 물속에서 생활하기에 붙여진 이름이다. 꽃등에 중에서는 헤비급에 해당한다. Helophilus virgatus Coquillett, 1898 수중다리꽃등에 Diptera 파리목 - Syrphidae 꽃등에과 best macro images cats story 2016. 1. 19. Palomena angulosa (Motschulsky, 1861) 북방풀노린재 새끼일때나 어른이 되어서도 색변화가 거의 없는 녀석. 긴장한듯 머리를 움추리고 있다. Palomena angulosa (Motschulsky, 1861) 북방풀노린재 Hemiptera 노린재목 - Pentatomidae 노린재과 2016. 1. 19. Eristalis cerealis Fabricius, 1805 배짧은꽃등에 화분매개 곤충으로서 제 역할을 다하고 있는 꽃등에류 꽃등에 유충은 진딧물을 잡아먹기에 천적 곤충으로 아주 유용하게 쓸 수 있을 것임. Eristalis cerealis Fabricius, 1805 배짧은꽃등에 Diptera 파리목 - Syrphidae 꽃등에과 2016. 1. 19. Metcalfa pruinosa (Say, 1830) 미국선녀벌레 수년전 부터 한국에 유입되어 증식하기 시작한 놈이다. 아직까지는 천적이 없어서 식물에 많은 피해를 입히고 있다. 허연 왁스질의 분비물을 만들어 식물 생장을 방해하고 병을 만든다, Metcalfa pruinosa (Say, 1830) 미국선녀벌레 Hemiptera 노린재목 - Flatidae 선녀벌레과 2016. 1. 19. Metasyrphus nitens (Zetterstedt, 1843) 물결넓적꽃등에 녀석의 배를 보면 왜 이런 이름이 붙었는지 짐작할 수 있을 것이다. 참고로 꽃등에 수컷은 겹눈이 붙어있으나 암컷은 벌어져있다. Metasyrphus nitens (Zetterstedt, 1843) 물결넓적꽃등에 Diptera 파리목 - Syrphidae 꽃등에과 best macro images cats story 2016. 1. 19. Myrteta angelica Butler, 1881 먹세줄흰가지나방 몸집이 상당하여 찍는 맛이 나는 놈. 검은 줄무늬가 시선을 꽁무니쪽으로 유도하게 만든다. 몸의 중요 부분을 공격으로부터 회피하게 만드는 진화의 결과. Myrteta angelica Butler, 1881 먹세줄흰가지나방 Lepidoptera 나비목 - Geometridae 자나방과 2016. 1. 19. Achaearanea tepidariorum (C.L. Koch 1841) 말꼬마거미 인가의 후미진 곳에서 쉽게 볼 수 있는 녀석들. 어설프고 지저분해 보이는 거미줄을 치고 벌레들을 잡아먹는다. Achaearanea tepidariorum (C.L. Koch 1841) 말꼬마거미 Araneae 거미목 - Theridiidae 꼬마거미과 2016. 1. 19. Hynobius leechi Boulenger, 1887 도롱뇽, 직소 퍼즐 같은 피부 계곡의 썩은 나무 밑에서 볼 수 있는 녀석. 낙엽과 같이 있으면 잘 보이지 않음. 툭 튀어나온 왕방울 눈인 순박해 보인다. Hynobius leechi Boulenger, 1887 도롱뇽(Korean salamander) Caudata 도롱뇽목 - Hynobiidae 도롱뇽과 2016. 1. 19. 이전 1 ··· 132 133 134 135 136 137 138 ··· 15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