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Photo1423

Problepsis plagiata (Butler, 1881) 점줄흰애기자나방 마치 날개에 금박을 입힌 듯한 동그란 무늬가 인상적인 점줄흰애기자나방. 어찌 보면 유화 물감으로 오톨도톨 그려 넣은 듯한 느낌도 묻어난다. 이 무늬는 동물의 눈을 흉내내어 천적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기 위한 수단이다. Problepsis plagiata (Butler, 1881) 점줄흰애기자나방 Lepidoptera 나비목 - Thyatiridae 뾰족날개나방과 2017. 8. 24.
Maruca vitrata (Fabricius, 1787) 콩명나방 대부분의 명나방과 곤충들은 인간에 의해 해충으로 규정된다. 이녀석 콩명나방도 마찬가지이며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애벌레가 콩을 먹고 자란다. 가장자리를 제외한 뒷날개가 반투명한 하얀색이며 앞날개는 갈색바탕에 백색 점무늬가 있다. Maruca vitrata (Fabricius, 1787) 콩명나방 Lepidoptera 나비목 - Crambidae 포충나방과 2017. 8. 23.
Hayashiclytus acutivittis (Kraatz, 1879) 측범하늘소 측범이란 칡범이라고도 한다. 여기서 측 또는 칡은 줄무늬가 있다는 뜻인데, 대표적인 예가 바로 칡소다. 검색엔진에서 이미지 검색을 하면 쉽게 접할 수 있다. 따라서 측범하늘소는 범과 같은 줄무늬가 있는 하늘소라는 뜻이다. Hayashiclytus acutivittis (Kraatz, 1879) 측범하늘소 Coleoptera 딱정벌레목 - Cerambycidae 하늘소과 2017. 8. 22.
Allomyrina dichotoma (Linnaeus, 1771) 장수풍뎅이 남부지방에 서식하는 장수풍뎅이 애벌레. 애완용 곤충으로 인기가 높은 녀석이다. 야행성이며 성충은 참나무 수액을 먹으며 유충은 식물 부식질을 먹고 자란다. Allomyrina dichotoma (Linnaeus, 1771) 장수풍뎅이 Coleoptera 딱정벌레목 - Dynastidae 장수풍뎅이과 2017. 8. 21.
Amara ussuriensis Lutshnik, 1935 우수리둥글먼지벌레 전체적으로 둥근 타원형에 광택이 나는 딱지날개를 가졌으며, 머리에 비에 겹눈이 상당히 큰 우수리둥글먼지벌레. 먼지벌레류는 대개 야행성인데 이놈은 낮에도 활동한다. Amara ussuriensis Lutshnik, 1935 우수리둥글먼지벌레 Coleoptera 딱정벌레목 - Carabidae 딱정벌레과 2017. 8. 20.
Super Macro 왕깡충거미♀ Marpissa milleri 글러브처럼 생긴 더듬이 다리를 제외하면, 암수의 형태 차이가 거의 없는 왕깡충거미 암놈.그래도 굳이 따져 본다면 전체적인 색이 옅고 배 부분이 약간 두터운 정도.작은 나방 종류를 사냥해서 먹고 있는 중이다.                                       Marpissa milleri Peckham et Peckham, 1894 왕깡충거미Aracneae 거미목 - Salticidae 깡충거미과       click her for more cat story       best macro images 2017. 8. 19.
Extreme Macro 왕깡충거미 Marpissa milleri Peckham et Peckham, 1894 전봇대나 펜스, 난간등의 기둥에서 만날 수 있는 왕깡충거미 수컷. 권투 글러브 같은 더듬이 다리가 특징인데, 사진 속의 이 녀석은 한쪽이 발육부진이다. 노멀한 모습이 아니라서 기록으로 남겨둔다. 전봇대에 거꾸로 매달려 먹이활동을 한다. 위협을 느끼면 전신주 위쪽으로 빠르게 뒷걸음친다. 이처럼 서식환경에 맞춰서, 체형이 전체적으로 날렵한 타원형에 납작한 몸매로 진화했다. 이 크고 둥그런 더듬이 다리 속에 머리를 감추고 빼꼼히 두 눈을 뜨고 상대방을 바라보면 귀엽기 한량없다. 그런데 어떤 면에서는 전성기 시절의 타이슨을 보는듯하다. 이른바 피커브 스타일 Marpissa milleri Peckham et Peckham, 1894 왕깡충거미 Aracneae 거미목 - Salticidae 깡충거미과 click h.. 2017. 8. 18.
Hyla japonica (Günther, 1859) 청개구리 청개구리는 우리나라 개구리 종류중에서 가장 귀여운 녀석이 아닐까 한다. 습기가 많은 풀잎 위에서 주로 관찰되며 농촌에서는 원두막 장판 사이사이에 숨어 있기도 한다. 자세히 보면 눈 아래에 투명한 순막이 올라와 안구를 보호한다. Hyla japonica (Günther, 1859) 청개구리 Anura 무미목 - Hylidae 청개구리과 2017. 8. 17.
Daimio tethys (Ménétriès, 1857) 왕자팔랑나비 아랫면 참나무 숲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왕자팔랑나비. 자나방 종류처럼 날개를 항상 펼치고 있어서 날개 아랫면을 잘 보여주지 않는다. Daimio tethys (Ménétriès, 1857) 왕자팔랑나비 Lepidoptera 나비목 - Hesperiidae 팔랑나비과 2017. 8.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