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1423 Acrodontis kotshubeji 뾰족가지나방 ♀ 몸매가 통통한 것으로 봐서 암컷으로 추정된다. 이 종은 몸뚱이를 가지런히 하지 않고 항상 옆으로 치우치게 앉아 있는다. 마치 쉼표 처럼 몸을 꾸부린다. 전체적인 모양은 리본을 연상케 한다. Acrodontis kotshubeji Sheljuzhko, 1944 뾰족가지나방 Lepidoptera 나비목 - Geometridae 자나방과 2019. 9. 27. Apis mellifera Linnaeus, 1758 꿀벌 꿀벌하면 생각나는 종이다. 자세히 구분하자면 재래꿀벌(토종꿀벌)과 양봉꿀벌(서양꿀벌)로 나뉜다. 후자가 현재 우리의 관념 속에 있는 꿀벌이다. Apis mellifera Linnaeus, 1758 양봉꿀벌 Hymenoptera 벌목 - Apidae 꿀벌과 2019. 9. 26. Extreme Macro 등빨간먼지벌레 Dolichus halensis (Schaller, 1783) 들판의 돌 밑, 낮은 산지의 낙엽아래에서 발견된다. 강서습지생태공원에서 촬영했다. 색상변이가 제법 있어서 흑화형 개체도 나타난다. Dolichus halensis (Schaller, 1783) 등빨간먼지벌레 Coleoptera 딱정벌레목 - Carabidae 딱정벌레과 2019. 9. 25. Menida scotti 스코트노린재 작은방패판 끝이 조금 돌출하였으며 연노랑색이다. 막질부는 반투명하여 배끝이 살짝 보인다. 11월 중하순에 촬영했다. 비교적 깨끗한 개체로 월동하려는듯 싶다. Menida scotti Puton, 1886 스코트노린재 Hemiptera 노린재목 - Pentatomidae 노린재과 2019. 9. 24. Extreme Macro 왕침노린재 Isyndus obscurus (Dallas, 1850) 몸길이 25mm 내외로 노린재 중에서는 대형에 속한다. 목 아래에 홈이 있으며 평소에는 여기에 침을 수납해 둔다. 열쇠와 자물쇠를 생각하면 쉽게 이해가 갈 것이다. Isyndus obscurus (Dallas, 1850) 왕침노린재 Hemiptera 노린재목 - Reduviidae 침노린재과 2019. 9. 23. Super Macro 겨울물결자나방 Operophtera brunnea Nakajima, 1991 다른 종과의 경쟁을 피하려는 목적이었을까? 4월 경에 애벌레 시절을 보내고 흙속에서 고치를 생성한다. 이후 늦가을 10월 부터 출현한다. 이 녀석은 11월 17일에 촬영했다. Operophtera brunnea Nakajima, 1991 겨울물결자나방 Lepidoptera 나비목 - Geometridae 자나방과 2019. 9. 21. Acronicta intermedia (Warren, 1909) 사과저녁나방 이름에서 알수 있듯이 사과나무를 가해하는 종이다. 배와 복숭아에도 피해를 준다고 알려져있다. 독나방류 애벌레와도 매우 비슷하다. Acronicta intermedia (Warren, 1909) 사과저녁나방 Lepidoptera 나비목 - Noctuidae 밤나방과 2019. 9. 20. Extreme Macro 굵은줄나비 Limenitis sydyi Lederer, 1853 곤충의 다리는 6개 인데 네발나비과에 속한 녀석들은 4개다. 1쌍이 퇴화되었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네발나비과는 가장 많은 나비종이 속한 분류군이다. Limenitis sydyi Lederer, 1853 굵은줄나비 Lepidoptera 나비목 - Nymphalidae 네발나비과 2019. 9. 19. Erannis golda Djakonov, 1929 참나무겨울가지나방 ♂ 암수의 생김새가 현격히 다른 성적이형을 보여준다. 암놈은 베이지색 바탕에 얼룩덜룩한 검은점이 있다. 더불어 날개가 퇴화되어 날 수 없다. Erannis golda Djakonov, 1929 참나무겨울가지나방 Lepidoptera 나비목 - Geometridae 자나방과 2019. 9. 18. 이전 1 ··· 38 39 40 41 42 43 44 ··· 15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