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0131 남산 고양이 아니, 이 녀석은 내가 "단칼에 끝내는 투자" 사이트에 올리고, 오마이뉴스에 기고했던 그 순둥이 고양이가 아닌가? 제목이 "한 마리 고양이는 열 사람을 부른다" 였었지. 남산 공원에 산책 갈 때 심심치 않게 마주치게 된다. 아는 사람은 다 알아보는 나름대로 유명한 녀석이로다. 요번에는 남산공원 북측순환로에서 멀찍이 떨어진 곳에서 해바라기를 하고 있다. 활동영역이 몹시 넓은 것 같다. 2019. 1. 13. 고양이 고덕동 루빈 이라는 이름줄을 달고 있었던 고덕동 공원의 고양이. 더운 한 낮이라 회양목 그늘 아래에 몸울 뉘이고 있다. 길고양이가 분명해 보이는데 누군가의 마음 씀씀이로 목줄을 차고 있군. 밤이 되면 더 많은 고양이가 나오겠지. 2019. 1. 12. 고양이 거잠포 인천국제공항에서 무료로 운행되는 자기부상 열차를 타 보았다. 승선후 약 4분 만에 용유역에 도착. 개찰구를 빠져나와 거잠포를 거쳐 잠진도까지 도보 여행이다. 약 40여분 간 이어지는 바다 산책길이 나름대로 운치가 있다. 일몰과 일출을 한 장소에서 볼 수 있다고 한다. 게을러서 일출은 못 보았음. 용유역 근처에서 촬영한 고양이 3모자. 확률상 노랑 고양이는 거의 수컷이라고 하던데, 이 녀석은 빛바랜 색이라서 해당하지 않나? 낯선이를 경계하는 으르렁거림~ 2019. 1. 11. 강아지 스카프 마음씨 넉넉한 주인의 강아지용 목도리. 그이는 어떤 생각에 이런 아이디어를 냈을까? 한 배에서 태어난 녀석들로 짐작되건만 참으로 다양한 유전자를 가졌구나. 노랑이, 검둥이, 칡개. 2019. 1. 10. Larus crassirostris Vieillot, 1818 괭이갈매기 고양이 울음 소리를 낸 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 괭이갈매기 괭이는 고양이의 준말, 향토어다. 그런데 갈매기 울음 소리는 보통 끼룩끼룩 하지 않나? Larus crassirostris Vieillot, 1818 괭이갈매기 Charadriiformes 도요목(물떼새목) - Laridae 갈매기과 2019. 1. 9. 갯강구 접사 서해 바다 어디에서나 볼 수 있는 갯강구. 약간 혐오스럽게 생겼다. 영어권에서도 마찬가지라 Wharf roach 라 불리운다. 바닷가의 하이에나, 청소부 동물이다. 접사 촬영을 해 보면 나름대로 귀여운 맛이 있다. Ligia exotica Roux, 1828 갯강구 Isopoda 등각목 - Ligiidae 갯강구과 2019. 1. 8. 철쭉과 어우러진 화야사 요사체 4월에서 5월에 피는 철쭉. 진달래는 이보다 일러서 3월에서 4월에 핀다.긴 겨울을 보내고 파릇파릇 분홍분홍 피어나는 꽃들이 시선을 모은다. #화야산 2019. 1. 7. 고무 바스켓에 핀 연꽃에 비료 뿌리다 고무 바스켓에서 피어나는 연.요소 비료를 주는 것으로 보인다.료리에 들어가는 조미료 같은 걸까? #연화사 2019. 1. 6. 깨진 유리 광석화 히스토그램 상 중간에 몰려서 밋밋했던 깨진 유리판 계조를 올려주었더니 색다르게 보인다. 광석을 보는 듯 하다. 으흠, 유리 미늘 2019. 1. 5. 이전 1 2 3 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