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cro Insects Archive1204 참나무겨울가지나방 ♂ Erannis golda 겨울에 깨어나는 대표적인 나방 중 하나다. 암컷은 날개가 없으며 얼룩소를 닮았다. 수놈은 기타 피크처럼 생겼다. 애벌레는 연노라에 황토색 줄무늬가 주르륵 흐른다. 겨울밤에 암놈이 풍기는 페로몬을 찾아서 수컷이 날아든다. 11월과 12월에만 볼 수 있다. 우리나라에는 약 30종의 나방이 겨울에 활동한다. 이놈들을 묶어서 겨울자나방 이라고 한다. 자나방 애벌레는 한뼘두뼘 걷기에 자로 칫수를 재는 것 같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https://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2892046 겨울밤에 활개치는 이 나방의 정체가 궁금하다면암수의 모양이 전혀 다른 현상을 성적이형(Sexual dimorphism)이라고 하는데 조류에서는 꿩이 .. 2025. 6. 17. 줄점겨울가지나방 ♂ Larerannis orthogrammaria 시월부터 11월 사이에 보인다. 12월에도 간혹 나타나는 것 같다. 야외의 화장실이나 벽면에 붙어 있는 모습이 흔하다. 암놈은 날개가 퇴화하여 누더기를 걸친 것 같은 모습이다. Larerannis orthogrammaria (Wehli, 1927) 줄점겨울가지나방 Lepidoptera 나비목 - Geometridae 자나방과 성적이형을 보이는 대표적인 나방 중 하나다. 성적이형이란 암수의 모습이 완전히 다름을 뜻한다. 짝짓기 하는 광경을 보지 못하면 같은 종이라는 것을 믿기 어렵다. 암컷은 날지 못하므로 수컷이 날아와 짝짓기를 한다. 겨울밤에 활개치는 이 나방의 정체가 궁금하다면 https://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28920.. 2025. 6. 15. 난타 하며 사랑을 나누는 녀석들... 강도래 강도래목(Plecoptera)은 "짠 날개"라는 뜻이다. 라틴어 plekein(땋다) 과 pteryx(날개)의 조합이다. 망사옷 같은 날개를 보면 금방 알아차릴 수 있다. 큰그물강도래. 과거에는 한국큰그물강도래, 라고 불렀다. 우리나라 고유종인줄 알았으나 동아시아 일대에 분포하는 것이 확인됨. 국명에서 '한국'이 빠진 이유다. 쬐끄만 풀벌레만 보다가 이렇게 큰 녀석을 보면 찍는 맛이 난다. 몸길이는 50mm 남짓이나 날개를 펼치면 90mm에 이르기도 한다. 필드에서 본 결과, 한 곳에 여러 쌍이 모여서 짝짓기를 하더라. https://omn.kr/2dcb5 난타를 하며 사랑을 나누는 녀석들'난타(NANTA)'는 신명나는 '두드림'으로 세계인을 사로잡은 대한민국의 매력 넘치는 문화 컨텐츠다. 대사.. 2025. 5. 4. Operophtera brunnea 겨울물결자나방 ♀ 겨울밤에 활개치는 이 나방의 정체가 궁금하다면 All images = Nikon D300s + Tamron 60mm + Extension tube + FlashCamera Settings = ISO 200 / F16–22↑ / 1/125–1/250s🦋 본 블로그는 분류학 기준에 따른 **디지털 곤충 도감**입니다.98% 이상이 극도로 정밀한 **매크로 사진**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로봇 아닙니다 곤충입니다』 (2020) – 초접사 사진집📰 『오마이뉴스』 연재 중: 「단칼에 끝내는 인문학 곤충기」📖 『풀벌레 이야기 도감』 출간 예정 (2025–2026)**ⓒ 모든 이미지의 저작권은 본인에게 있으며, 무단 사용시 법적 조치합니다.**#단칼에끝내는인문학곤충기 #단칼곤충기 #daankal #eastolany #ExtremeMacro #Super.. 2025. 1. 2. 꿀벌을 낚아채는 말벌... 도심적응력도 뛰어납니다 Vespa mandarinia 장수말벌 등검은말벌이 우리나라에 들어와 생태계를 교란시키고 있다면 미국으로 간 우리나라의 장수말벌은 양봉농가의 골치아픈 존재로 등극해버렸다. 2019년에 미국에서 처음 확인된 장수말벌은 현지에서 '아시아거인말벌(Asian giant hornet)'로 불리우며 천적이 없어 피해가 확산되고 있다. Vespa mandarinia Smith, 1852 장수말벌 Hymenoptera 벌목 - Vespidae 말벌과 https://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2881280&SRS_CD=0000013479 꿀벌을 낚아채는 말벌... 도심적응력도 뛰어납니다1987년 FOX 뉴스에서 첫 방영된 애니메이션 심슨가족(The Simpsons)은 블랙 유머를 곁들여서 미.. 2024. 12. 24. Hyalobole evelina 털수염밤나방 이상 증식하면 농작물에 상당한 손해... 동남아, 아프리카 등 긴장시키는 곤충들 FAO(유엔식량농업기구)는 세계 식량을 위협하는 곤충으로서 밤나방을 꼽는다. 파를 갉아먹는 파밤나방과 오이 수확을 망치는 오이금무늬밤나방, 콩무늬밤나방은 콩을 파먹으며 고추와 담배를 먹는 담배나방은 악명이 높다. 어른벌레로 월동한다. 11월 말에서 12월 초에 날개돋이 하는 것으로 추정 됨.인편이 하나도 닳지 않았고 실내로 옮기니 거침없이 날아다님. All images = Nikon D300s + Tamron 60mm + Extension tube + FlashCamera Settings = ISO 200 / F16–22↑ / 1/125–1/250s🦋 본 블로그는 분류학 기준에 따른 **디지털 곤충 도감**입니다.98% 이상이 극도로 정밀한 **매크로 사진**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로봇 아닙.. 2024. 12. 23. Inurois membranaria 좁은날개겨울자나방 ♀ 겨울밤에 활개치는 이 나방의 정체가 궁금하다면 Lepidoptera 나비목 - Geometridae 자나방과 Inurois membranaria (Christoph, 1881) 좁은날개겨울자나방 암수의 모양이 전혀 다른 현상을 성적이형(Sexual dimorphism)이라고 하는데 조류에서는 꿩이 그러하다. 진한 갈색의 줄무늬에 얼굴은 파랗고 눈 주위는 빨간 수컷 꿩을 장끼라 하고, 연갈색 바탕에 수수한 암컷은 까투리라고 부른다. 공작새와 청둥오리도 성적이형을 보이는 종이다. 곤충 세상에서는 겨울자나방 무리가 대표적이다. All images = Nikon D300s + Tamron 60mm + Extension tube + FlashCamera Settings = ISO 200 / F16–22↑ / 1/125–1/250s🦋 본 블로그는 분류.. 2024. 12. 20. Corythucha ciliata 버즘나무방패벌레 개미의 사악함에 대해 알려드립니다 All images = Nikon D300s + Tamron 60mm + Extension tube + Flash**Camera Settings** = ISO 200 / F16–22↑ / 1/125–1/250s***1. 본 블로그는 분류학 기준에 따라 구성된 디지털 곤충 도감을 지향합니다. 전체 사진의 98% 이상이 극단적인 정밀함을 추구하는 매크로(접사) 사진입니다.2. 본 블로그에 올려둔 사진과 미발표 사진을 엮어, 2020년에 초접사 사진집 『로봇 아닙니다 곤충입니다』를 출판했습니다. 현재 여러 온라인 스토어에서 구입할 수 있습니다.3. 본인의 사진은 모두 저작권이 명확히 표기되어 있으며, 원작자의 동의 없이 무단 사용 시 법적 조치를 취합니다. 국내 주요 언론사에서도 무단 사용 .. 2024. 12. 16. Parapolybia indica 큰뱀허물쌍살벌 여왕벌 다리를 축 늘어뜨리고 난다 큰뱀허물쌍살벌 여왕벌. 12월 6일. 겨울잠을 자려고 준비중이었다. 나무 구멍 속에서 나와 이러저리 날다가 다시 같은 자리로 온난화 때문이겠지. 12월까지 활동을 하다니 그것도 쌩쌩하게 다리를 늘어뜨리고 나는 모습이, 마치 '화살을 쏜 것'처럼 보인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 쌍살벌. 순 우리말로는 '바다리(뻗은 다리)'라고 하며 영어권에서는 종이집벌(Paper wasp)이라고 부른다. 나무를 갉아내어 잘게 씹은 뒤 타액으로 반죽하여 집을 만들기 때문이다. 뱀허물쌍살벌은 길다란 벌집을 만드는데 허물을 벗어던진 뱀 껍질을 떠올리게 하여 지어진 명칭이다. 몸 길이 약 25mm 정도로 우리나라 전역에서 흔하게 발견되는 제일 큰 쌍살벌을 '왕바다리'라고 한다. 쌍살벌(뱀허물쌍살벌, 제주왕바다리, 등검정쌍살벌, 꼬마.. 2024. 12. 15. 이전 1 2 3 4 ··· 13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