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Macro Insects Archive/Orthoptera - 메뚜기목43

흰 혁대를 맨 왕귀뚜라미 Teleogryllus emma (Ohmachi et Matsuura, 1951) 가을의 전령사, 8월 말이면 귀뚤귀뚤 리드미컬 한 울음소리를 낸다. 운치있는 가을을 널리 알리기 위해서라기보다는가설라무네그러니깐두루. 수컷이 암놈을 유혹하는 세레나데이다. 힘 없은 수컷은 노래를 못한다. 암놈은 수놈의 울음소리를 들으면 병이 있는지? 2세에게 훌륭한 유전자를 넘겨줄 수 있는지? 등등 몹시 중요한 정보를 알 수 있다고 한다. 한마디로 말해서 '좋은 유전자 감별사' 인 셈이다. 이 녀석은 왕귀뚜라미 1령 애벌레다. 한 살이지만 왕답게 덩치가 웬만한 귀뚜라미 성체에 육박한다. 탄내 나는 몸매를 가졌으나 배마디에 흰색 가로줄이 쾌청하게 나 있어 구별할 수 있다. 옆에서 보면 대갈장군에 겹눈이 상당히 크다. 입술수염도 잘 발달했다. 엄청나게시리 튼실해보이는 뒷다리 종아리마디에는 철조망 같은 가시가.. 2024. 7. 31.
풀무치 얼굴의 푸른 줄무늬 이제 서울 도심에서는 풀무치를 볼 기회가 거의 없다. 63빌딩이 세워지기 전 마포 한강변은 메뚜기 밭이었다. 그 중에서 풀무치는 풀밭 보다는 모래밭에 더 많이 분포했었다. 지금와 생각해보니 암컷들이 알을 낳기 위해 모여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All images = Nikon D300s + Tamron 60mm + Extension tube + Flash**Camera Settings** = ISO 200 / F16–22↑ / 1/125–1/250s***1. 본 블로그는 분류학 기준에 따라 구성된 디지털 곤충 도감을 지향합니다.   전체 사진의 98% 이상이 극단적인 정밀함을 추구하는 매크로(접사) 사진입니다.2. 본 블로그에 올려둔 사진과 미발표 사진을 엮어,   2020년에 초접사 사진집 『로봇 아.. 2020. 9. 4.
Super Macro 방아깨비 ♀ Acrida cinerea 한 여름의 풀밭에서 쉽게 보이는 방아깨비 암놈 녹색 기본형.몸에 분홍색이 있는 개체는 아직 덜 자란 녀석이다.짝짓기를 할 수 있는 성체가 되면 없어짐. 위협을 느끼면 입에서 검은 위액을 방울방울 맺히게 한다.     All images = Nikon D300s + Tamron 60mm + Extension tube + Flash**Camera Settings** = ISO 200 / F16–22↑ / 1/125–1/250s***1. 본 블로그는 분류학 기준에 따라 구성된 디지털 곤충 도감을 지향합니다.   전체 사진의 98% 이상이 극단적인 정밀함을 추구하는 매크로(접사) 사진입니다.2. 본 블로그에 올려둔 사진과 미발표 사진을 엮어,   2020년에 초접사 사진집 『로봇 아닙니다 곤충입니다』를 출판했습.. 2020. 7. 3.
Extreme Macro 방아깨비 ♀ Acrida cinerea 풀밭 어디서나 흔하게 보이는 방아깨비 암컷 갈색형.대부분 녹색 몸매이나 주변 환경에 따라서 갈색의 보호색을 띈다.암놈은 수컷보다 등치가 3배나 넘게 크다.     All images = Nikon D300s + Tamron 60mm + Extension tube + Flash**Camera Settings** = ISO 200 / F16–22↑ / 1/125–1/250s***1. 본 블로그는 분류학 기준에 따라 구성된 디지털 곤충 도감을 지향합니다.   전체 사진의 98% 이상이 극단적인 정밀함을 추구하는 매크로(접사) 사진입니다.2. 본 블로그에 올려둔 사진과 미발표 사진을 엮어,   2020년에 초접사 사진집 『로봇 아닙니다 곤충입니다』를 출판했습니다.   현재 여러 온라인 스토어에서 구입할 수 있습.. 2020. 7. 1.
Super Macro 모메뚜기 Tetrix japonica (Bolivar, 1887) 서식 환경에 따라 체색 변이가 심한 종이다.다른 메뚜기와 달리 성충이 되어도 날개가 배를 넘게 자라지 않는다.간혹가다 긴 날개를 가진 장시형이 나타나기도 한다.       All images = Nikon D300s + Tamron 60mm + Extension tube + Flash**Camera Settings** = ISO 200 / F16–22↑ / 1/125–1/250s***1. 본 블로그는 분류학 기준에 따라 구성된 디지털 곤충 도감을 지향합니다.   전체 사진의 98% 이상이 극단적인 정밀함을 추구하는 매크로(접사) 사진입니다.2. 본 블로그에 올려둔 사진과 미발표 사진을 엮어,   2020년에 초접사 사진집 『로봇 아닙니다 곤충입니다』를 출판했습니다.   현재 여러 온라인 스토어에서 구입할.. 2019. 11. 27.
Paratlanticus ussuriensis 갈색여치 가리는 것이 없이 무엇이든 먹어치우는 녀석이다.잘못 잡으면 사람을 물기도 한다.크기는 30mm 정도까지 자라며 몸뚱이가 크기에 철사벌레(연가시)의 숙주가 되기도 한다.     All images = Nikon D300s + Tamron 60mm + Extension tube + Flash**Camera Settings** = ISO 200 / F16–22↑ / 1/125–1/250s***1. 본 블로그는 분류학 기준에 따라 구성된 디지털 곤충 도감을 지향합니다.   전체 사진의 98% 이상이 극단적인 정밀함을 추구하는 매크로(접사) 사진입니다.2. 본 블로그에 올려둔 사진과 미발표 사진을 엮어,   2020년에 초접사 사진집 『로봇 아닙니다 곤충입니다』를 출판했습니다.   현재 여러 온라인 스토어에서 구.. 2019. 11. 25.
Extreme Macro 방아깨비 Acrida cinerea (Thunberg, 1815) 뒷다리를 잡고 있으면 겅중겅중 몸을 흔든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암수의 몸집 차이가 상당히 크다. 세 배는 족히 넘을 듯 싶다.수컷은 날 때 따다다닥 날개 부딛치는 소리를 낸다.      All images = Nikon D300s + Tamron 60mm + Extension tube + Flash**Camera Settings** = ISO 200 / F16–22↑ / 1/125–1/250s***1. 본 블로그는 분류학 기준에 따라 구성된 디지털 곤충 도감을 지향합니다.   전체 사진의 98% 이상이 극단적인 정밀함을 추구하는 매크로(접사) 사진입니다.2. 본 블로그에 올려둔 사진과 미발표 사진을 엮어,   2020년에 초접사 사진집 『로봇 아닙니다 곤충입니다』를 출판했습니다.   현재 여러 온라인.. 2019. 10. 1.
Oedaleus infernalis Saussure, 1884 팥중이 7월에서 10월 사이에 출현하며 다 자라면 50mm 가까이 커지는 녀석이다. 냇가나 들판, 초원지대에 서식하며 콩과 식물을 먹는다. 주변 환경에 맞춰 체색이 녹색이나 갈색으로 바뀐다.      All images = Nikon D300s + Tamron 60mm + Extension tube + Flash**Camera Settings** = ISO 200 / F16–22↑ / 1/125–1/250s***1. 본 블로그는 분류학 기준에 따라 구성된 디지털 곤충 도감을 지향합니다.   전체 사진의 98% 이상이 극단적인 정밀함을 추구하는 매크로(접사) 사진입니다.2. 본 블로그에 올려둔 사진과 미발표 사진을 엮어,   2020년에 초접사 사진집 『로봇 아닙니다 곤충입니다』를 출판했습니다.   현재 여러 온.. 2019. 9. 3.
Conocephalus exemptus (Walker, 1869) 긴꼬리쌕쌔기 강변 풀밭에 서식하는 긴꼬리쌕쌔기 암컷.꽁무니에 길다랗게 나온 것이 산란관이다.여치과에 속한 녀석이라 잡식성이다.   Conocephalus exemptus (Walker, 1869) 긴꼬리쌕쌔기Orthoptera 메뚜기목 - Tettigoniidae 여치과  All images = Nikon D300s + Tamron 60mm + Extension tube + Flash**Camera Settings** = ISO 200 / F16–22↑ / 1/125–1/250s***1. 본 블로그는 분류학 기준에 따라 구성된 디지털 곤충 도감을 지향합니다.   전체 사진의 98% 이상이 극단적인 정밀함을 추구하는 매크로(접사) 사진입니다.2. 본 블로그에 올려둔 사진과 미발표 사진을 엮어,   2020년에 초접사 .. 2019. 8. 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