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ankal241 Ypthima motschulskyi (Bremer et Greyt, 1853) 석물결나비 ♀ 전국에 분표하는데 주로 낮은 산지의 묘지 주변에서 관찰 된다. 애벌레가 벼과 식물(벼, 바랭이, 참억새풀, 털주름풀)을 먹고 산다. 이 식물들은 대개 잡초로 불리우는데 햇볕이 잘 드는 초원지대에서 자라기 때문이다. 사진의 오동정은 추후 바꿀 것임. Ypthima motschulskyi (Bremer et Greyt, 1853) 석물결나비 Lepidoptera 나비목 - Nymphalidae 네발나비과 2019. 12. 18. Goniagnathus rugulosus (Haupt, 1917) 넓은각시매미충 넓은각시매미충 5mm 정도의 크기이며 인편이 다 닳아 빠져서 활력이 없다. 11월 초중순에 촬영했다. Goniagnathus rugulosus (Haupt, 1917) 넓은각시매미충 Hemiptera 노린재목- Cicadellidae 매미충과 2019. 9. 7. Super Macro 매끈한점박이꽃무지 Protaetia lugubris (Herbst, 178) 에머럴드 빛 진녹색의 광택이 인상 깊은 매끈한점박이꽃무지. (오정동 된 사진은 나중에 수정할 예정임) 풍뎅이류는 딱지날개를 펼치고 날지만, 꽃무지 종류는 겉날개(딱지날개)를 펼치지 않고 비행한다. 성충의 구분 포인트. Protaetia mandschuriensis (Schürhoff, 1933) 만주점박이꽃무지 Coleoptera 딱정벌레목 - Cetoniidae 꽃무지과 2019. 8. 28. Anisolabella marginalis (Dohrn, 1864) 끝마디통통집게벌레 오동정을 바로 잡는다. 사진은 추후 수정함. Anisolabella marginalis (Dohrn, 1864) 끝마디통통집게벌레 꼬리 끝의 집게 한 쪽이 발육부진이면 수컷이다. 5월에서 10월 동안 활동하며 습하고 따뜻한 곳을 좋아한다. 이러한 습성 때문에 집안에서도 흔히 발견되는 녀석이다. Anisolabella marginalis (Dohrn, 1864) 끝마디통통집게벌레 Dermaptera 집게벌레목 - Anisolabididae 민집게벌레과 2019. 5. 7. Anisolabella marginalis (Dohrn, 1864) 끝마디통통집게벌레 오동정을 바로 잡는다. Anisolabella marginalis (Dohrn, 1864) 끝마디통통집게벌레 사진은 나중에 수정함. 실내의 습한 곳, 그러니까 주로 화장실이나 수돗가 근처, 정원의 돌 밑에서 발견할 수 있다. 다 자라면 20mm 정도 되는 큰 녀석이다. Anisolabella marginalis (Dohrn, 1864) 끝마디통통집게벌레 Dermaptera 집게벌레목 - Anisolabididae 민집게벌레과 2017. 12. 12. Ypthima multistriata Butler, 1883 물결나비 나는 모습이 재미있는 녀석이다. 뭐랄까? 파도를 탄다고 해야하나? 마치 맥박이 뛰는 듯 통통 튀면서 날라다닌다. Ypthima multistriata Butler, 1883 물결나비 Lepidoptera 나비목 - Nymphalidae 네발나비과 2016. 5. 7. Latoia sinica (Moore, 1877) 뒷검은푸른쐐기나방 오동정을 바로 잡는다. 사진은 나중에 바꿀 예정임. 곤충 이름에 '쐐기' 라는 말이 둘어가면 주의해야 한다. 이들 애벌레의 침은 피부에 살짝 닿기만 해도 엄청난 고통을 수반한다. 성충은 괜찮은데 꼬물딱거리는 애벌레는 특히나 유의해야 함. Latoia sinica (Moore, 1877) 뒷검은푸른쐐기나방 Lepidoptera 나비목 - Limacodidae 쐐기나방과 2016. 1. 19. 이전 1 ··· 24 25 26 2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