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epidoptera 나비목 - Geometridae 자나방과
Inurois membranaria (Christoph, 1881) 좁은날개겨울자나방
암수의 모양이 전혀 다른 현상을 성적이형(Sexual dimorphism)이라고 하는데 조류에서는 꿩이 그러하다. 진한 갈색의 줄무늬에 얼굴은 파랗고 눈 주위는 빨간 수컷 꿩을 장끼라 하고, 연갈색 바탕에 수수한 암컷은 까투리라고 부른다. 공작새와 청둥오리도 성적이형을 보이는 종이다. 곤충 세상에서는 겨울자나방 무리가 대표적이다.
All images = Nikon D300s + Tamron 60mm + Extension tube + Flash
Camera Settings = ISO 200 / F16–22↑ / 1/125–1/250s
🦋 본 블로그는 분류학 기준에 따른 **디지털 곤충 도감**입니다.
98% 이상이 극도로 정밀한 **매크로 사진**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 『로봇 아닙니다 곤충입니다』 (2020) – 초접사 사진집
📰 『오마이뉴스』 연재 중: 「단칼에 끝내는 인문학 곤충기」
📖 『풀벌레 이야기 도감』 출간 예정 (2025–2026)
**ⓒ 모든 이미지의 저작권은 본인에게 있으며, 무단 사용시 법적 조치합니다.**
#단칼에끝내는인문학곤충기 #단칼곤충기 #daankal #eastolany #ExtremeMacro #SuperMacro #MacroPhotography #InsectArchive #곤충도감 #접사사진
겨울자나방 무리가 겨울에 깨어나는 이유는 천적을 피해 세대를 이어가려는 목적과 함께 다른 종과의 경쟁을 피하기 위해서다. 쌀쌀한 날씨, 온돌방이 그리워지는 한 밤중에 짝짓기를 하는데 이르면 11월 늦으면 12월까지 활동한다. 종에 따라서는 2월에 출현하는 녀석도 있다. 겨울에 교미하여 세대를 이어가는 습성 때문에 겨울자나방이라고 하며 지금까지 우리나라에는 약 30종이 기록되어 있다.
https://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2892046&SRS_CD=0000013479
겨울밤에 활개치는 이 나방의 정체가 궁금하다면
암수의 모양이 전혀 다른 현상을 성적이형(Sexual dimorphism)이라고 하는데 조류에서는 꿩이 그러하다. 진한 갈색의 줄무늬에 얼굴은 파랗고 눈 주위는 빨간 수컷 꿩을 장끼라 하고, 연갈색 바탕에
www.ohmynews.com
'Macro Insects Archive > Lepidoptera - 나비목 - 나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Operophtera brunnea 겨울물결자나방 ♀ 겨울밤에 활개치는 이 나방의 정체가 궁금하다면 (0) | 2025.01.02 |
---|---|
Hyalobole evelina 털수염밤나방 이상 증식하면 농작물에 상당한 손해... 동남아, 아프리카 등 긴장시키는 곤충들 (0) | 2024.12.23 |
겨울에 깨어나는 겨울자나방, 스펀지에서 겨울 나는 매미나방 Erannis golda 참나무겨울가지나방 ♀ (0) | 2024.11.27 |
겨울밤에 활개치는 이 나방의 정체가 궁금하다면 Pachyerannis obliquaria 앞노랑겨울가지나방 (0) | 2024.11.16 |
Colotois pennaria 흰점갈색가지나방 오체투지와 오메가로 지구를 측정하는 자나방 (0) | 2024.11.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