딱지날개의 문양을 보면 왜 범하늘소라는 이름이 붙었는지 알 수 있다.
대개 하늘소 종류는 나무속을 파먹고 살므로 벌채목에서 발견할 수 있다.
이 녀석은 꽃밭에서도 심심치 않게 발견된다.
Chlorophorus diadema (Motschulsky, 1853) 범하늘소
Coleoptera 딱정벌레목 - Cerambycidae 하늘소과
'Macro Insects Archive > Coleoptera - 딱정벌레목' 카테고리의 다른 글
SuperMacro 큰털보먼지벌레 Dischissus mirandus Bates, 1873 (0) | 2019.07.27 |
---|---|
Cyllorhynchites ursulus 도토리거위벌레 (0) | 2019.07.24 |
Monochamus guttulatus (Gressitt, 1951) 점박이수염하늘소 ♂ (0) | 2019.07.22 |
Super Macro 산맴돌이거저리 Plesiophthalmus davidis Fairmaire, 1878 (0) | 2019.07.17 |
Thlaspida lewisii (Baly, 1874) 루이스큰남생이잎벌레 (0) | 2019.07.16 |